공동소유자 80% 동의해도 재건축·리모델링 가능할듯

공동소유자 80% 동의해도 재건축·리모델링 가능할듯

입력 2015-10-04 10:24
수정 2015-10-04 1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건축투자활성화 방안 담은 개정안 발의

앞으로 10명 이상이 공동소유한 건물을 리모델링할 때 소유자 80%의 동의만 받아도 될 전망이다.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윤덕 의원 등이 최근 발의한 ‘건축법’ 개정안을 보면 정부가 7월 ‘제8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내놓은 건축투자활성화 방안이 대부분 담겼다.

개정안은 10명 이상이 지분을 나눠 소유한 건물을 훼손·멸실 등으로 재건축·리모델링할 때 공유지분자와 공유지분의 각각 80% 이상만 동의해도 되도록 했다.

또 재건축·리모델링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에게 지분을 시가에 팔라고 청구할 수도 있게 했다.

소재를 알 수 없는 공유지분자의 지분에 대해서는 절차를 거쳐 해당 지분의 감정평가액만큼을 법원에 공탁하고 재건축·리모델링을 시작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건물을 재건축·리모델링하려면 모든 공동소유자가 동의해야 한다. 1∼2명만 반대해도 재건축 등이 완전히 무산되는 구조다.

앞서 정부는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토지를 여러 명이 나눠 소유했을 때 소유자의 80%만 동의해도 건축협정 체결이 가능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건축협정은 땅 주인끼리 협정을 맺으면 인접한 2∼3필지를 하나의 대지로 묶어 재건축할 수 있게 하고 용적률, 건폐율 등도 완화해주는 제도다.

이번 건축법 개정안은 정부안보다 한 발짝 더 나아가 건축협정과 상관없이 모든 재건축·리모델링을 공동소유자 80%만 동의해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개정안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대지의 지상이나 지하의 여유공간만 따로 지상권을 설정해 주민편의시설 등을 설치하려 할 때 건축허가를 내줄 수 있는 근거도 마련됐다.

지자체가 청사를 지을 때 저층부는 업무공간으로 하고 고층부는 민간업자에게 팔아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이 들어오게 해도 원칙적으로 건축 허가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개정안에는 또 ▲ 복수용도 건축물 허용 ▲ 건축협정을 통한 결합건축의 구체적인 절차 ▲ 공사 없이 바닥면적 500㎡ 미만 건물을 용도변경할 때 사용승인 면제 등의 내용이 담겼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