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의 입에 피마르는 시장

‘Fed’의 입에 피마르는 시장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5-10-12 22:46
수정 2015-10-13 0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피셔 연준 부의장 “연내 금리인상은 예상일 뿐 약속 아니다”

“투자 방향성을 잡지 못해 피가 마른다. 지금쯤 (돈 버는) 실적을 내야 할 시점인데….”(A자산운용사 채권 딜러)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가 ‘연내’에서 ‘내년’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면서 시장 참가자들은 깊은 고민에 빠졌다.

한 달 만에 돌변한 미국 분위기 탓에 투자자들은 자산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할지, 자산운용사들은 고객에게 어떻게 조언해야 할지 갈팡질팡이다. 인상 시점을 언제로 예측하느냐에 따라 투자 전략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대응 전략을 짜야 하는 정부도 촉각을 곤두세우기는 마찬가지다.

스탠리 피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부의장은 11일(현지시간) 페루 리마에서 “(연내 금리 인상과 관련해) 예상일 뿐 약속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기존 ‘매파적’(금리 인상론자) 태도에서 한발 물러난 모습이다. 고용지표도 내려앉았다.

지난달 미국의 비농업 부문 고용은 시장 예상치(20만 3000명)를 한참 밑도는 14만 2000명 증가에 그쳤다. 이로 인해 미국의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10월 금리 인상 확률은 8.0%, 12월은 37.4%로 내려갔다.

지난달 초에는 12월 인상 확률이 60%에 육박했다. 반면 내년 1월 인상 확률은 44.9%, 내년 3월은 59.3%로 올라갔다.

국내 금융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1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143.5원(종가)으로 전 거래일보다 15.5원 급락했다. 지난 7월 14일(1142.6원) 이후 3개월 만에 최저치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미국이 금리를 동결한 지난달 말부터 신흥국 통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며 “지난주 미국의 고용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신흥국의 환율 하락 속도가 더욱 가팔라졌다”고 분석했다.

유흥영 신한PWM 서울파이낸스 팀장은 “매월 발표되는 미국의 고용·물가 지표에 따라 금리 인상 전망 시기가 널뛰고 있다”면서 “12월 인상도 물 건너가는 분위기여서 고객에게 투자 방향성을 제시하기가 무척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투자 수익이 확정된 것은 현금화하고 단기 투자 상품에 좀 더 관심을 갖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이태훈 하나은행 여의도골드클럽 팀장은 “연준 관계자들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시장이 춤추는 양상”이라면서 “당분간 이런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금리 인상 때까지) 발을 뻗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신흥국 중앙은행 총재들은 “빨리 금리를 올려 불확실성을 없애 달라”고 미국에 촉구하고 나섰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서울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10-1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