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위축 속 전분기比 1.1%P↑… 2011년의 42.2% 연간 기록 깰
삼성전자가 메모리 반도체인 D램 부문에서 역대 최고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13일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글로벌 D램 시장 1위인 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D램 점유율(매출액 기준)은 직전 1분기(44.1%)보다 1.1% 포인트 상승한 45.2%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D램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008년 30%대를 돌파한 데 이어 2011년 42.2%로 올라서면서 연간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쟁력의 근원은 삼성전자가 나노 미세공정에서 압도적인 기술 격차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2014년 3월부터 20나노 D램을 양산하고 있는데 경쟁사들의 주력 제품은 아직도 25~30나노 수준이다. 1나노는 10억분의1m로 반도체 회로 선폭을 나타내는 단위인데, 숫자가 낮을수록 생산성이 높고 처리 속도가 빠르지만 높은 기술력이 요구된다.
삼성전자는 내년 중 18나노 D램 양산으로 기술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예정이어서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D램 시장 점유율 고공 행진을 이어 갈 것으로 보인다. D램의 주요 수요처는 PC, 모바일, 서버 등이며, 삼성은 부가가치가 높은 모바일용과 서버용 D램 쪽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어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반도체 부문이 3조 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역대 두 번째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10-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