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상환 독촉 위험 노출
국내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이해력이 국제 평균에 못 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금융이해력이 낮을수록 금융 사기나 파산 등에 노출될 위험이 커진다.
김자봉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8일 ‘금융교육 국가전략의 추진을 위한 개선 과제와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고 “금융교육지원법 제정과 대통령 직속 금융교육위원회 설치 등을 통해 금융교육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연구원은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한 금융이해력 국제 비교 테스트 문항을 활용해 국내 금융소비자들의 이해력 수준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 국내 금융소비자들의 정답률은 63.0%로 국제 평균 정답률 65.8%에 못 미쳤다. 금융기관별 고객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 기준 은행 3.9점, 보험사 3.1점, 저축은행 2.4점, 대부업체 2.6점으로 조사돼 금융권 고객 간 이해력의 차이가 나타났다. 생애단계별로 보면 대학생 평균 점수가 3.9점으로 가장 높았고 직장 초년 3.4점, 10년차 3.3점, 20년차 3.0점, 은퇴예정자 2.9점 순으로 낮아졌다. 은퇴자 평균 점수는 2.7점에 그쳤다.
금융이해력이 낮을수록 더 많은 가계부채와 부채상환 독촉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5점 그룹 소비자의 경우 64.8%가 가계부채를 갖고 있고 이 중 13.1%가 독촉받은 경험이 있는 반면, 0점 그룹은 부채를 갖고 있는 비율이 67.9%, 독촉 경험은 26.8%로 높게 나타났다.김 연구위원은 이와 관련 “금융협회 등 공급자 중심으로 구성된 교육을 수요맞춤형 교육으로 전환하고, 생애단계별 교육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토의형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10-1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