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온누리상품권

[길섶에서] 온누리상품권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5-07-22 00:05
수정 2025-07-22 0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쓰기 전까지 집 근처 전통시장 가게들에 상호가 있는 줄 몰랐다. 채소가게 ‘늘푸른’에서, 반찬가게 ‘웰빙식품’에서 결제됐다는 알림을 보며 어떤 마음으로 가게를 열었을지 짐작해 본다.

상품권을 쓰면 바로 상점 계좌로 입금되니 조금 사고 카드 쓰기 미안하던 마음이 덜어진다. 결제 승인되는 몇 초 동안의 가벼운 대화도 즐겁다. 물론 5~10% 할인이 최고 매력이다.

어느 날 뭘 사지도 않았는데 알림이 왔다. 사용액 환급이라고 2000원을 돌려준다. 마침 그 정책을 설계한 관료를 만났다. 상품권을 산 뒤 빨리 사용한 소비자 대상의 인센티브 행사란다.

빨리 쓴 게 뭐라고 환급까지 해 주나 싶었는데, 들어 보니 이점이 한둘이 아니다. 돈이 잘 돌수록 승수효과가 크고, 정부의 지원 예산을 허공으로 날리는 상품권 묵혀 두기도 줄어든다. 당장 써야 환급받는다는 압박감이 소비를 늘리고, 상품권이 활발히 돌면서 구매와 사용 데이터 간 연결도 더 잘 보인다.

간단한 인센티브 규칙으로 만드는 여러 효과. 2000원을 환급받으며 작은 경제학을 배웠다.

홍희경 논설위원
2025-07-22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