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공공기관도 5곳 중 1곳꼴로 ‘좀비’

공기업·공공기관도 5곳 중 1곳꼴로 ‘좀비’

입력 2015-10-30 07:44
수정 2015-10-30 0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0곳중 40곳,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아

금융당국이 최근 부실 민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에 나선 가운데 공기업과 공공기관도 5곳 중 1곳꼴로 독자 생존 능력을 상실한 채 국민 혈세에 의존하는 ‘좀비’ 상태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재벌닷컴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공공기관 알리오에 2014회계연도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190개 공기업과 공공기관을 조사한 결과,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곳이 40개사로 전체의 21.1%를 차지했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활동으로 얻는 영업이익을 이자비용(금융원가)으로 나눈 수치로,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면 이자도 감당하지 못할 만큼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공기업과 공공기관의 경영 부실은 대부분 국민 세금으로 메우고 있다는 점에서 공공부문 구조조정의 시급성도 부각되고 있다.

공기업의 경우 ▲ 시장형 16개사 중 5곳(31.3%) ▲ 준시장형 16개사 중 6곳(37.5%) ▲ 공기업 투자법인 38개사 중 11곳(28.9%) 등 전체 70개사 중 22곳이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으로 나타났다.

공기업이 수익창출 목적으로 투자한 법인 중 상당수가 막대한 손실을 내고 있다.

한국무역보험공사가 2010년 65.47% 지분을 인수해 최대주주가 된 조선업체인 신아에스비는 지난 3년간 6천5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해 작년 말 기준 부채가 자산의 6배가 넘는 1조8천400억원에 달했다.

이 회사는 작년에만 134억원의 영업손실을 내고 이자비용이 매출액(340억원)의 6배가 넘는 1천954억원에 이르러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외부 차입이나 국민혈세 지원이 없으면 사실상 문을 닫아야 하는 형편이다.

또 대한석탄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투자한 알파돔시티자산관리, 한국전력0]이 투자한 신평택발전 등은 자본을 다 까먹은 완전 자본잠식 상태로 나타났다.

해외자원개발에 적극 나선 한국가스공사는 지난해 9천38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나 이자비용이 1조9억원에 달해 이자를 갚기에도 힘에 부치는 상황이다.

한국석유공사도 지난해 2천146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으나 이자비용은 1천200억원 가량 더 많은 3천363억원에 달했다.

이밖에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코레일로지스, 대구그린파워, 신평택발전, 켑코우데, 코셉머티리얼, 에스알 등도 영업손실로 이자를 갚을 능력을 상실한 처지이다.

정부의 기금을 관리하거나 업무를 위탁받은 82개 준정부기관의 18.3%인 15곳도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지 못하고 있다.

준정부기관 중에서는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한국에너지공단, 근로복지공단, 한국광해관리공단, 한국소비자원 등이 영업손실을 면치 못하는 상태이다.

특히 한국환경공단, 한국철도시설공단, 근로복지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 4곳은 적자 누적으로 정부 출연금을 다 까먹은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놓여있다.

기타 공공기관 38개 가운데 영업손실 상태인 곳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울, 기초전력연구원 등 3곳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