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이 한국 제약사를 새로 쓰고 있다. 지난 5일 약 5조원에 달하는 당뇨 치료제 기술을 수출 한 지 사흘만에 이번에는 1조원대에 이르는 당뇨·비만 치료제 기술을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한미약품은 9일 자체 개발 중인 옥신토모듈린(식욕을 줄이는 장 호르몬) 기반의 당뇨·비만 치료 바이오신약 ‘HM12525A’에 대해 ‘타이레놀’로 유명한 글로벌 제약회사 얀센과 개발·상업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은 얀센으로부터 확정된 계약금 1100억여원(1억 500만 달러)을 받고, 단계별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 등에 걸쳐 모두 9371억 7000여만원 (8억 1000만 달러)를 별도로 받는다. 제품 출시 이후에는 두 자리 수 퍼센트의 판매 로열티를 받기로 했다.
HM12525A는 인슐린 분비와 식욕억제를 돕는 ‘GLP-1’과 에너지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Glucagon)을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이중작용 치료제다. 치료제가 완성되면 인슐린 투여로 비만을 걱정하는 당뇨 환자들에게 큰 희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계약으로 얀센은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HM12525A’에 대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얀센은 2016년 이 약에 대해 2상 임상시험을 개시할 계획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한미약품은 9일 자체 개발 중인 옥신토모듈린(식욕을 줄이는 장 호르몬) 기반의 당뇨·비만 치료 바이오신약 ‘HM12525A’에 대해 ‘타이레놀’로 유명한 글로벌 제약회사 얀센과 개발·상업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은 얀센으로부터 확정된 계약금 1100억여원(1억 500만 달러)을 받고, 단계별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 등에 걸쳐 모두 9371억 7000여만원 (8억 1000만 달러)를 별도로 받는다. 제품 출시 이후에는 두 자리 수 퍼센트의 판매 로열티를 받기로 했다.
HM12525A는 인슐린 분비와 식욕억제를 돕는 ‘GLP-1’과 에너지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Glucagon)을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이중작용 치료제다. 치료제가 완성되면 인슐린 투여로 비만을 걱정하는 당뇨 환자들에게 큰 희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계약으로 얀센은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HM12525A’에 대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얀센은 2016년 이 약에 대해 2상 임상시험을 개시할 계획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