뭘 배웠을까, 삼성사장단 강연

뭘 배웠을까, 삼성사장단 강연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5-11-16 22:46
수정 2015-11-17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주 수요일 6년째 이어와

삼성 사장단과 미래전략실 수뇌부 50여명은 매주 수요일 오전 8시마다 본사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집합한다. 경영 현안을 논의하고 전문가를 초청해 강연을 듣는 삼성사장단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2010년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지론에 따라 사장단협의회가 특강 중심으로 개편된 직후 6년째 이어올 만큼 삼성이 중요시하는 행사다.

16일 삼성에 따르면 수요 사장단협의회 특강이 올 들어 42회를 기록했다. 특강 주제는 정치·경제·사회 이슈부터 역사·문화·예술까지 분야를 망라하지만 이를 통해 삼성의 미래 전략은 물론 한국 경제의 트렌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올해 강연에서는 삼성이 미래 먹거리로 지목한 바이오 분야 강연만 세 차례가량 이뤄져 눈길을 끌었다. 삼성그룹은 지난 4년간 약 1조 2000억원을 바이오 사업에 투자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인 송도공장도 착공을 앞두고 있다. 지난해에는 바이오 관련 강연이 한 차례도 없었다.

최근 삼성이 밀고 있는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인 ‘삼성페이’ 출시 직후 2개월 뒤인 지난 10월에는 ‘디지털 화폐 혁명’이란 제목으로 핀테크 관련 수업이 열리기도 했다.

지난 7월에는 허영만 화백이 강사로 초청돼 눈길을 끌었다. 사장단이 대중문화 관련 인물을 강연자로 부른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

사회 트렌드 관련 주제는 단골 메뉴다. 올 들어선 ‘2015년 한국 사회 키워드’, ‘평판사회, 기업경영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등의 강의가 있었다. 중국도 빠지지 않는 주요 관심사다. ‘중국 인물들의 도전 정신과 리더십’, ‘중국 경제 동향 및 전망’ 등이 주제로 나왔다. 북한 관련 주제도 꾸준히 나온다. 지난 1월과 10월에는 각각 이화여대 조동호 교수와 김용호 연세대 북한연구원장으로부터 ‘통일과 남북 경협’, ‘최근 북한 정세’를 주제로 강의를 들었다.

강연은 50분, 질의 응답은 10분가량 이뤄지며 강연 내용은 당일 출입기자단 브리핑을 통해 일부 공개된다. 최근 강연 내용을 일부 정리한 ‘삼성의 CEO들은 무엇을 공부하는가’라는 책이 나오기도 했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11-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