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 여파 가계소득 둔화…자영업 연소득 2천72만원

저성장 여파 가계소득 둔화…자영업 연소득 2천72만원

입력 2015-12-01 11:27
수정 2015-12-01 1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영업자 비율 27.4%…OECD 평균보다 11.6%p 높아전경련 “지식집약 서비스업 활성화가 관건”

저성장의 여파로 가계소득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자영업자의 낮은 수익성이 가계소득 증가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진단됐다.

전경련은 1일 ‘가계소득 현주소 및 향후 과제’ 보고서에서 최근 10년간 가계소득 증감 원인을 검토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소득은 2004년 490조2천억원에서 2014년 788조8천억원으로 연 4.9%씩 총 1.6배로 늘었다.

이 기간에 피용자보수(임금)는 연 5.9%씩 총 1.8배로 증가했다. 임금이 가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4년 76.0%에서 2014년 84.0%로 늘어나며 가계의 핵심소득원으로 자리매김했다.

임금근로자 고용은 2004년∼2014년 법인 수가 크게 느는 등 활발한 기업활동으로 1천489만명에서 1천874만명으로 연 2.3%씩 총 1.3배 늘었다. 임금수준은 2006년∼2014년 연 3.8%씩 증가했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임금은 높고 빠르게 늘었다.

반면에 가계소득에서 2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영업자의 영업잉여는 연 2.9%로 부진해 가계소득 증가율을 끌어내리는 역할을 했다.

실제로 자영업자의 연간소득(2천72만원)은 근로소득자(3천74만원)의 67.4%에 불과했다. 서비스업 중 연간 수익이 2천만원 미만인 업종에 자영업 사업장이 98만개(서비스업 사업체의 1/3), 총 223만명(서비스업 종사자의 1/5)이 종사하는 등 자영업의 저수익성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자영업자 비율은 27.4%(2013년)로 1인당 국민소득이 4만달러를 넘는 고소득 국가의 비율 평균 11.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5.8%보다도 높았다.

전경련은 “자영업이 수익성이 낮고 저수익 업종에 몰려 있는데 자영업자 수는 많다 보니 자영업자 영업잉여가 부진하고 이것이 가계소득 증가율을 제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연금·건강보험 등 사회보장지출은 2014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10.4%로 OECD 평균 21.6%의 절반 수준이었으나 10년간 4.4%포인트(1.7배) 느는 등 증가속도는 빨랐다.

소득세 등은 정부지출이 2004년 112조원에서 2014년 224조원으로 확대되며 급증했다. 전경련은 직접세·순경상이전(의료보험료 등 사회보험 비용)이 가계소득 항목 중 가장 빨리 늘어 자영업자 영업잉여 부진과 함께 가계소득 증가율을 제약한 주요 요인으로 진단했다.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자영업자 비중이 34.0%에서 26.8%로 낮아졌으나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높다”며 “수익이 낮은 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자영업자를 양질의 임금근로자로 흡수하기 위해서는 의료, 금융, 정보서비스, 전문·과학·기술서비스 등 고임금인 지식집약 서비스업의 활성화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