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밥 안한다…식비 42% 외식·배달에 지출

집에서 밥 안한다…식비 42% 외식·배달에 지출

입력 2015-12-16 11:04
수정 2015-12-16 1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한국인은 식비의 절반가량을 음식을 밖에서 사먹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5 식품 소비량 및 소비행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가구에서 주로 식품을 구입하는 20~69세 2천명, 14세~74세 가공식품 구입경험자 2천128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식비는 50만9천430원이었고, 이 가운데 42%(21만4천163원)는 외식·배달에 지출됐다. 구체적으로는 외식에 30.1%(15만3천477원), 배달(테이크아웃 포함)에 11.9%(6만686원)을 썼다.

나머지 48%(29만5천267원)는 신선농산물이나 가공식품를 사는데 사용됐다.

특히 1인 가구의 배달·외식비 비중은 55.1%로 절반을 넘어섰다.

같은 맥락에서 손쉽게 한 끼 식사를 마련할 수 있는 ‘즉석 조리식품’ 수요도 늘었다.

“즉석조리식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74.6%로, 2013년(61.9%)과 지난해(72.6%)를 거쳐 계속 높아지는 추세이다.

연령대가 낮은 가구, 어린이·유아를 둔 외벌이 가구 등에서 특히 즉석조리식품 구입 경험률이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소비를 늘리고 싶은 가공식품으로는 ‘우유’가 1위로 꼽혔고, 반대로 줄이고 싶은 가공식품으로는 라면류와 비스킷·과자류가 지목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