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콩 두유, 검은콩 함량 1% 미만에 당분 32%↑

검은콩 두유, 검은콩 함량 1% 미만에 당분 32%↑

입력 2015-12-16 15:18
수정 2015-12-16 15: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비자원 “당분·칼슘 더 넣고 30% 비싸게 받아”

식사대용으로도 활용되는 두유 음료 중 검은콩 두유가 흰콩 두유보다 당류 함량이 32.4%나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검은콩 두유는 실제 검은콩의 함량도 1%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6일 시중에서 많이 팔리는 두유제품 12개와 대형유통점 자체상표(PB) 제품 2개를 합해 총 14개의 두유 제품을 조사한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에서 200㎖ 기준 검은콩두유 제품 8개의 평균 당류 함량은 9.0g으로 흰콩두유 6개 제품(평균 6.8g)보다 32.3% 많았다.

특히 정식품이 제조·판매하는 베지밀검은콩고칼슘두유는 10.9g으로 당류함량이 14개 제품 중 가장 높았다.

소비자원은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1일 섭취권고량(50g)의 21.8%에 이른다”면서 “다른 식품과 함께 먹으면 1일 섭취권고량을 초과할 우려가 높다”고 전했다.

이어 “검은콩두유를 사는 소비자 중 68.3%는 ‘건강에 더 좋을 것 같아서’라고 응답했지만 검은콩두유 의 평균 당류 함량은 9.0g으로 WHO 1일 섭취권고량의 18% 수준”이라고 밝혔다.

다음으로는 남양유업의 맛있는두유GT고칼슘검은콩깨(10.2g), 삼육식품의 삼육두유검은콩칼슘(10.0g), 정식품이 만들어 홈플러스가 판매하는 속든든검은콩과검은참깨두유(9.6g) 순으로 당류 함량이 높았다.

14개 제품 중 당류함량이 가장 낮은 제품은 삼육두유A(5.2g)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정작 검은콩두유 속 검은콩의 함유량은 1% 미만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제란 소비자원 시험검사국 식품미생물팀장은 “소비자들은 대부분 검은콩두유에 검은콩이 주로 들어간 것으로 아는데 흰콩두유액에 검은콩 농축액이나 추출액을 일부 섞은 것으로 검은콩 함량은 1% 미만”이라고 전했다.

이어 “검은콩은 텁텁한 맛이 강해서 그걸 상쇄하려고 당을 더 넣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검은콩두유는 몸에 좋은 영양소인 칼슘의 평균 함량이 235㎎로 흰콩두유 제품(113㎎)보다 108.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흰콩두유는 6개 제품 중 맛있는두유GT담백한맛(25㎎), 삼육두유A(31㎎), 연세대학교연세우유의 연세두유고소한아몬드&잣두유(41㎎) 등 3개 제품의 칼슘함량이 전체 14개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정식품의 담백한베지밀에이, 빙그레의 빙그레맛있는콩두유, 매일유업의 뼈로가는칼슘두유 등 나머지 3개 제품의 칼슘함량은 160∼228㎎를 나타냈다.

검은콩두유 8개 제품 중에서는 속든든검은콩과검은참깨두유(149㎎)를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칼슘을 224㎎ 이상 포함하고 있었다.

이 중 칼슘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삼육두유검은콩칼슘(283㎎)로 나타났다.

김 팀장은 “‘몸에 좋다’는 이미지를 살리려고 검은콩두유는 흰콩두유보다 칼슘을 인위적으로 더 많이 넣는다”며 “당과 칼슘 첨가 등의 증가때문에 검은콩두유의 가격은 흰콩두유보다 평균 30.0% 더 비싸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에서 빙그레맛있는콩두유, 연세두유고소한아몬드 및 잣두유, 연세검은콩두유 등 4개 제품은 실제 비타민 함량이 제품 포장 겉면에 표시된 것보다 최대 64% 정도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연세검은콩두유는 제품에 표시된 당류함량(3g)보다 실제 측정된 함량(5.8g)이 193% 많이 허용오차 범위(120%)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