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운전 당한 원인 절반 이상 “앞에서 천천히 갔다”

보복운전 당한 원인 절반 이상 “앞에서 천천히 갔다”

입력 2015-12-18 10:56
수정 2015-12-18 1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통연구원 1천명 설문조사…5명 중 2명 보복운전 당해

운전자 5명 중 2명은 보복운전을 당한 경험이 있으며 보복운전을 당한 원인으로는 51.8%가 “앞에서 천천히 갔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은 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우리나라 보복운전 실태조사 및 방지방안’세미나를 개최하고 지난 8월 운전자 1천3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0.6%가 보복운전을 당한 경험이 있고 14.3%가 보복운전을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많을수록, 운전경력이 많을수록, 운전 빈도가 높을수록, 성격이 급한 사람일수록 보복운전을 당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복운전을 당한 유형으로는 ‘계속 빵빵거리며 경적 울림’이 44.1%로 가장 많았다.

전조등 번쩍임과 욕설, 앞으로 추월해 진로 가로막음이 차례로 뒤를 이었다.

보복운전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은 1.2%, 육체적 폭력은 1.5%로 집계됐다.

보복운전을 당한 원인으로는 ‘앞에서 천천히 갔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앞으로 끼어들었기 때문과 양보하지 않았기 때문, 사고가 날 뻔했기 때문 순으로 대답했다.

보복운전을 당한 원인에는 남녀 차이가 있었다. 여성 운전자는 ‘앞에서 천천히 갔기 때문(64.1%)’이 가장 큰 이유였고 남성 운전자는 ‘앞으로 끼어들었기 때문(48.1%)’이 가장 큰 이유로 꼽혔다.

보복운전을 해봤다는 응답자를 분석해보면 자신도 보복운전을 당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이고, 30∼40대 연령, 운전빈도가 높을수록, 차량가격이 비쌀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연간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성격이 급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일수록 보복운전을 한 경험이 높게 조사됐다.

보복운전을 한 원인으로는 ‘사고가 날 뻔했기 때문(63.8%)’이 가장 많고 ‘앞에서 천천히 갔기 때문(16.8%)’은 가장 적은 이유로 꼽혀 보복운전을 하는 사람과 당하는 사람이 느끼는 이유에 차이가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보복운전이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응답자의 68.3%가 ‘개인의 급하고 참지 못하는 성격’을, 보복운전 방지책으로는 39.7%가 ‘단속 및 처벌강화’라고 답했다.

설문조사를 주도한 교통연구원 설재훈 박사는 “도로교통법에 보복운전 관련 조항을 추가하고 대책을 강구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경찰은 보복운전을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처벌하고 있으나 도로교통법에는 보복운전에 대한 정의나 처벌조항이 명확하지 않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