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갤럭시 전도사’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차 트렁크에 갤럭시폰을 싣고 다니며 틈틈이 선물하는데 홍보 효과가 꽤 크다고 합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차 트렁크에 휴대전화 대신 꿀벌을 싣고 다닙니다. 그것도 1000마리나 말이죠. 어찌 된 사연일까요.
이 꿀벌의 정체는 ‘위비’라는 이름을 가진 꿀벌 모양의 봉제 인형입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5월 모바일 전문은행인 ‘위비 뱅크’를 출범하며 파란색 바탕에 노란색 띠를 두른 위비 꿀벌을 대표 캐릭터로 내세웠습니다. … 캐릭터가 좋은 반응을 얻자 지난해 10월엔 금융 당국에 ‘은행 캐릭터 저작권 라이선싱’ 부수 업무를 신청하기도 했죠. 캐릭터 사업에 뛰어든 겁니다.
이 사업의 첫 번째 행보로 지난해 말 봉제인형 5만개를 제작했습니다. 판매용이 아닌 홍보용입니다. 전국 영업점에 소량씩 배포해 일부 고객들에게만 선물로 증정하고 있습니다.
이 행장도 꿀벌 5000마리를 가져갔습니다. 차 트렁크에 꿀벌을 잔뜩 싣고 다니다가 고객을 만나면 선물로 준다고 합니다.
우리은행은 위비 캐릭터가 ‘대박 났다’며 함박웃음입니다. “우산이나 모자 등 기존 기념품은 별 반응이 없었는데 위비 인형은 자녀나 손주를 둔 고객들에게 인기 폭발”이라나요. 인형을 더 챙겨 달라는 요청도 줄을 잇는다고 합니다. 무형의 홍보 효과가 쏠쏠함은 말할 것도 없지요.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를 전면에 내세우곤 하던 은행권의 기존 상품(브랜드) 홍보 방식과 차별화를 둔 전략이 적중한 셈입니다. “유명인을 대표 모델로 쓰면 유명인의 인기 부침에 따라 브랜드도 함께 출렁인다”는 것이 은행권의 공통된 고민입니다.
우리은행은 올해부터 위비 뱅크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인 ‘위비톡’을 선보였습니다. 카카오톡처럼 사용자 간에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고 위비 이모티콘을 구입하거나 선물할 수 있습니다.
위비 캐릭터 사업도 더 확대할 계획입니다. 은행과 캐릭터 사업의 조합이 아직은 낯설지만 금융업 영역을 과감하게 확장해 가는 이 행장의 광폭 행보에 자꾸 눈길이 갑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6-01-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