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차례비용 23만4천원…전통시장, 백화점의 절반

설 차례비용 23만4천원…전통시장, 백화점의 절반

입력 2016-02-04 12:17
수정 2016-02-04 12: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설에 차례상을 차리는 비용은 평균 23만3천987원으로 지난해보다 3.0% 올랐으며, 전통시장 가격이 백화점의 절반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지난달 백화점 12곳, 대형마트 24곳, 기업형 슈퍼마켓(SSM) 18곳, 일반 슈퍼마켓 19곳, 전통시장 17곳 등 총 90개 점포를 조사한 결과를 4일 공개했다.

축산, 수산, 과일, 채소, 가공식품 등 5개 항목에 대해 총 24종의 식품이나 상품을 사는 경우 설 차례상 소요비용(4인 기준)은 평균 23만3천987원으로 조사되어 지난해보다 3.0% 올랐다.

유통점별로 전통시장은 평균 17만9천94원에 구입할 수 있어 가장 저렴했으며, 일반 슈퍼마켓(19만8천578원), 대형마트(21만7천931원), SSM(22만2천922원), 백화점(32만7천734원) 순으로 나타났다.

백화점 가격은 전통시장의 1.8배 수준에 이르렀다.

항목별로 전통시장이 다른 유통점보다 저렴한 대표적인 품목을 보면 축산물 중에서 쇠고기(탕국용·600g)는 백화점이 5만1천130원으로 전통시장(2만6천113원)의 2배에 달했다.

수산물 중 참조기(3마리 기준)는 백화점이 2만607원으로 전통시장(7천447원)의 2.8배를 나타냈다.

채소 가운데 숙주 나물은 백화점이 3천211원으로 전통시장(1천19원)의 3.2배였으며, 과일 중 사과(5개 기준)는 백화점(1만214원)이 전통시장(9천777원)의 1.04배 였다.

한편 축산, 수산, 채소 3가지 항목에 대해 수입산과 국산의 가격을 비교한 결과 참조기를 제외한 나머지 상품들은 대부분 국산이 더 비쌌다.

대표적으로 수입산 쇠고기(호주산 기준)는 국산보다 37.0%∼45.5% 저렴으며, 고사리·도라지·숙주(대부분 중국산)는 국산보다 각각 72.1%, 68.5%, 59.3% 쌌다.

수입산 상품의 국적별 비중을 보면 쇠고기(탕국용)는 호주산이 82.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참조기는 조사대상 유통점 모두에서 중국산 부세조기가 팔리고 있어 수입산 비중이 100%에 달했다.

명태살과 황태포는 러시아산이 98% 이상으로 나타났고, 고사리·도라지·숙주는 중국산 비중이 93∼100%에 이르렀다.

아이수루 서울시의원 “양천에서 만난 감동의 밤,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공연’ 참석

서울시의회 시의원 아이수루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비례)이 지난 14일 양천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국립 클래식 음악 실내악단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공연’ 행사에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날 행사의 사회는 김병찬 아나운서가 맡았으며, 곡 배경, 작곡가의 스토리를 비롯해, 카자흐스탄의 음악적 특징 등을 내실있게 표현하고, 깊이를 잃지 않는 멘트로 전달해 공연 몰입도를 높여주기도 했다.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개막식은 ▲천동희 이사장((재)양천문화재단) 환영사를 비롯해, 본 공연의 예술감독인 ▲가우카르 무르지베코바 감독(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공연 예술감독) ▲누르갈리 아르스타노프 대사(주한 카자흐스탄 대사) ▲아이수루 의원(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해 공연 초미의 성대한 개막을 알렸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는 아이수루 의원은 이날 축사에서 “이렇게 멋진 무대에 여러분과 함께 음악으로 만날 수 있어 행복하다”면서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서울까지 먼 길을 와주신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여러분에 진심으로 환영의 인사를 표한다”는 말을 건넸다. 그러면서 “오
thumbnail - 아이수루 서울시의원 “양천에서 만난 감동의 밤,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공연’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