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마침내 첫선을 보인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는 저성장 저금리 시대에 자산운용의 편리함과 절세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금융상품이다. 하나의 계좌에 예·적금과 펀드, 주가연계증권(ELS), 파생결합증권(DLS) 등 다양한 상품을 담을 수 있어 ‘만능통장’으로 불린다. 5년간(연봉 5000만원 이하는 3년) 계좌를 유지하면 소득에 따라 200만~250만원의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도 초과 수익에 대해서도 현행 이자소득세(15.4%)보다 낮은 9.9%의 낮은 세율을 적용받는다. ISA는 금융사에 상품 선택부터 운용까지 모두 맡기는 ‘일임형’과 고객 스스로 투자 상품을 고르는 ‘신탁형’으로 나뉜다. 공격적인 투자를 원하면 일임형을 선택하는 게 좋고, 투자에 능숙하거나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싶으면 신탁형을 고르면 된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일임형의 경우 ‘초고위험’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초저위험’ 5단계로 세분화돼 있어 본인의 투자 성향과 자금 사정을 고려해 선택할 수 있다. ISA는 1인당 1계좌만 개설이 가능하다. 또 3개월마다 수익률이 공개되고 갈아타기도 허용된다. 이 때문에 금융사는 사활을 건 진검승부를 펼칠 수밖에 없다. 최고의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모델포트폴리오(MP)를 구성해 고객들의 눈길을 붙잡는 데 전력투구하고 있다. 일단 은행 13곳과 증권사 19곳, 보험사 1곳 등 총 33곳이 ISA를 출시했으며 조만간 37곳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주요 은행과 증권사의 ISA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핵심 강점을 소개한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6-03-1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