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황> ‘상고하저’ 코스피…대형주 상승률 1위 에쓰오일

<주간시황> ‘상고하저’ 코스피…대형주 상승률 1위 에쓰오일

입력 2016-04-02 10:11
수정 2016-04-02 1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스피는 이번 주(3월28일∼4월1일)에 상고하저(上高下低) 흐름 속에 한 주간 0.5% 뒷걸음질했다.

주 후반의 외국인 매도세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주초인 28일 코스피는 전주의 하락세가 이어져 1.27포인트(0.06%) 떨어지는 약보합세로 끝났다.

그러나 29일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연설을 앞두고 12.37포인트(0.62%) 상승했다.

특히 금리 인상을 ‘신중히(cautiously)’ 하겠다는 옐런 의장의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적 발언이 전해진 30일에는 7.23포인트(0.36%) 오른 2,002.14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2,000선을 회복한 것은 올해 처음이었다.

옐런 의장은 한국시간으로 30일 새벽 뉴욕 이코노믹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통화) 정책의 조정은 조심스럽게 진행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31일에는 달러화 약세 흐름에 환차익을 노린 외국인의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기 시작하면서 지수가 6.29포인트(0.31%) 하락한 1,995.85로 밀려났다.

이번 주 마지막 거래일인 1일에는 외국인 매도세가 한층 더 거세져 시가총액 상위주를 중심으로 약세장이 펼쳐져 22.28포인트(1.12%)나 떨어졌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외국인의 순매도 규모는 2천11억원에 달했다.

외국인들이 매도 행진을 벌이던 올해 2월 12일의 2천978억원 이후 최대치다.

결국 코스피는 지난달 25일 1,983.81에서 1일 1,973.57로 마감해 한 주간 시세는 10.24포인트(0.52%) 하락세를 기록했다.

대형주 가운데 가장 높은 주간 하락률을 보인 종목은 대한전선으로 13.71% 떨어졌다.

관리종목에서 풀리면서 그동안 치솟은 주가가 부담이 됐다.

CJ(-9.79%), 현대백화점(-8.13%), 영원무역(-7.10%), 롯데칠성(-6.73%)이 하락률 상위 5위권에 들었다.

그러나 증시 전반의 약세에도 에쓰오일은 한 주간 5.91% 오르며 상승률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상승률 10위권에는 미래에셋증권(5.70%), BNK금융지주(5.48%), GS(4.52%) 등 정유나 금융업종의 기업이 포진했다.

한편 코스닥은 5거래일간 7.49포인트(1.1%) 상승 마감했다.

<자료:네이버 주식 일별시세 캡처>

◇ 코스피 대형주 주간 상승률 10위

┌──────┬──────┬──────┐

│ 종목 │1일 종가(원)│주간 상승률 │

│ │ │(%) │

├──────┼──────┼──────┤

│S-Oil │ 96,700│ 5.91│

├──────┼──────┼──────┤

│미래에셋증권│ 23,150│ 5.7│

├──────┼──────┼──────┤

│BNK금융지주 │ 9,420│ 5.48│

├──────┼──────┼──────┤

│엔씨소프트 │ 256,000│ 4.7│

├──────┼──────┼──────┤

│GS │ 57,700│ 4.52│

├──────┼──────┼──────┤

│현대해상 │ 34,850│ 4.34│

├──────┼──────┼──────┤

│SK이노베이션│ 168,500│ 4.33│

├──────┼──────┼──────┤

│LG유플러스 │ 11,100│ 4.22│

├──────┼──────┼──────┤

│동부화재 │ 75,900│ 3.97│

├──────┼──────┼──────┤

│삼성카드 │ 39,700│ 3.79│

└──────┴──────┴──────┘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