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만명의 청년이 최저 임금에도 못 미치는 ‘열정페이’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청년임금 근로자의 17%로 6명 중 1명꼴이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현대경제연구소가 24일 발표한 ‘청년 열정페이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청년(15~29세) 근로자의 11.6%(45만 1000명)였던 열정페이 청년 비중이 지난해 17%(63만 5000명)로 5.4% 포인트 증가했다.
‘열정페이’란 최저 시급(시간당 6030원)에도 못 미치는 돈을 주면서 열정이라는 명목하에 청년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행태를 비꼬는 말이다.
열정페이 비중은 나이가 어릴수록 사업장의 규모가 작을수록 컸다. 15~19세는 근로자 중 열정페이 비중이 2011년 51.7%에서 지난해 57.6%로 5.9% 포인트 높아졌다. 20~24세는 5.7% 포인트(19.4→25.1%), 25~29세는 1.7% 포인트(5→6.7%)씩 상승했다.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열정페이 청년 비중이 2011년 31.4%에서 지난해 41.0%로 10명 중 4명에 해당했다. 반면 1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같은 기간 0.4% 포인트(4.3→3.9%) 줄어들었다.
열정페이 비중은 또 비정규직일 때 가파르게 증가했다. 비정규직 중 열정페이 청년 비중은 2011년 21.3%에서 지난해 32.8%로 11.5% 포인트 급등했다. 반면 정규직에서는 0.8% 포인트( 7.7→ 8.5%) 상승에 그쳤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2% 중반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최저임금은 8.1% 올라 열정페이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저임금 청년 근로자의 고용을 유지하는 사업장에 대해 고용유지 장려금을 주고 공적연금 지원 등을 통해 비용 부담을 완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4-2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