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없는 괴롭힘…학생 10명 중 2명 ‘사이버폭력’ 노출

소리없는 괴롭힘…학생 10명 중 2명 ‘사이버폭력’ 노출

입력 2016-05-10 10:34
수정 2016-05-10 1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5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보고서 발간

지난해 국내 학생 10명 중 2명이 사이버폭력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 가해 학생은 학년이 높을수록 죄의식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피해 학생 중에는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생각마저 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공동으로 발간한 ‘2015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초·중·고 학생 10명 중 2명(17.2%)은 최근 1년간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사이버폭력은 온라인상에서 이뤄지는 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등을 포괄하는 용어다.

반대로 가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비율은 17.5%였다. 2014년과 비교하면 피해 경험은 1.8%p 줄었지만 가해 경험은 3.5%p 증가했다.

학생들의 사이버폭력 가해 유형은 언어폭력이 15.8%(복수응답)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따돌림, 명예훼손, 스토킹 등은 2~3% 이내로 비교적 적었다.

가해 대상 비율은 ‘인터넷 아이디나 닉네임을 알고 있을 뿐 실제 누구인지 모르는 사람’(48.9%·복수응답)과 ‘평소에 알던 사람’(47.1%)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와 친분과 상관없이 폭력 행위가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 이유로는 ‘상대방이 먼저 그런 행동을 해서 보복하기 위해’(43.9%)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상대방이 싫어서·화가 나서’(34.8%)라는 응답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재미나 장난으로·스트레스 해소를 위해’(22.8%), ‘내 의견과 달라서·상대방이 틀린 말을 해서’(16.5%), ‘그냥 특별한 이유 없이’(14.6%), ‘주변에서 함께 하므로·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6.3%) 등을 가해 이유로 꼽은 학생들도 있었다.

가해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신의 행위에 죄책감을 덜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초·중·고 학생별로 가해 이후 심리를 물었더니 ‘정당한 행동이라고 느꼈다’는 답변이 각각 22.8%, 34.6%, 43.6%로 고학년일수록 높았다. 반대로 ‘아무런 느낌이 없다’는 비율은 33.1%, 29.7%, 24.9%로 갈수록 낮아졌다.

사이버폭력 피해 학생들은 가해자에게 복수하고 싶다거나(31.7%·복수응답) 우울·불안하거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다(18.4%), 공부하고 싶지 않고 학교에 가기 싫었다(10.6%), 친구를 만나거나 사귀기가 힘들었다(7.2%) 등 부정적인 심리 변화가 뚜렷했다. 심지어 자살·자해를 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5.8%)는 답변도 있었다.

그러나 피해 학생들의 대처는 상대방 차단·내 아이디나 이메일을 삭제 또는 변경(39.1%·복수응답),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음(27.5%) 등으로 대부분 소극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해당 웹사이트에 신고(17.4%), 상담 및 신고센터에 알리거나 경찰에 신고(3.3%) 등과 같은 적극적인 조치를 한 학생은 소수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22일부터 11월 13일까지 전국 초(4~6학년)·중·고 재학생 총 3천명을 대상으로 우편으로 진행됐으며, 신뢰도 95%에 표본오차는 ±1.79%p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