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지난해 수입한 노르웨이 연어는 1만 3285t에 달했다. 2014년 수입량(9325t)보다 42.4% 증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군바르 비에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NSC) 한국·일본담당 이사는 19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류니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 일본과 함께 노르웨이 연어 소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대표적인 국가”라고 말했다. 지난해 노르웨이 연어 총 수출량은 103만 5000t으로 전년보다 3.7%, 같은 기간 아시아 지역으로의 연어 수출량은 7.0% 증가하는데 그쳤다.
그는 “노르웨이 생연어는 한 번도 얼리지 않은 채 항공직송으로 잡힌지 36시간 만에 한국으로 들어와 냉장 유통되는 것이 특징”이라면서 “한국에 들어오는 생연어의 97%가 노르웨이산”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한국에서 뷔페 형태의 연어 무한리필 전문점이 큰 인기를 누렸고, 가정에서 회나 초밥으로 연어를 소비하는 양이 늘었던 것이 성장 요인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국내 연어 뷔페 식당이 늘어난 배경엔 국제이슈가 개입되어 있다. 매년 노르웨이에서 1조원대 규모로 연어를 수입하던 러시아가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로 서방 제재를 받는 통에 연어 수입을 못하게 되자, 국제 연어값이 하락했고 과거 러시아로 향하던 연어가 한국 시장으로 유입됐다. 지난해엔 칠레에서 연어가 집단폐사한 여파로 연어 국제가격이 전년 대비 4.5% 오르며 반등했지만, 이미 조성된 국내 연어 수요가 안정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노르웨이 고등어의 국내 고등어 시장점유율도 23%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1년까지 수입 고등어의 절반 이상이 중국산이었지만, 중국이 자국 내 고등어 소비 증가에 맞춰 수출 물량을 줄이며 점유율 순위에 변화가 생겼다고 한다. 냉장 유통되는 연어와 다르게, 노르웨이산 고등어는 제철인 9~10월에 수확해 급속 냉동한 뒤 유통된다. 특히 40대 이하 젊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뼈를 바른 노르웨이산 ‘순살 고등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NSC는 파악했다.
일본산이나 중국산에 비해 노르웨이 수산물을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인식에 대해, 비에 이사는 “북해 바다의 생태계 건강을 유지하고, 첨단기술과 연구 결과를 활용해 최상의 생선 품질을 유지하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자평했다. 그는 “노르웨이 어획량의 95%가 해외 140개국으로 수출돼 전 세계에서 매일 3600만개의 식탁에 노르웨이 수산물이 오르고 있다”면서 “한국인들이 연어와 고등어 외에 바다 송어, 킹크랩 등 노르웨이의 다른 우수한 수산물도 접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군바르 비에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NSC) 한국·일본담당 이사는 19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류니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 일본과 함께 노르웨이 연어 소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대표적인 국가”라고 말했다. 지난해 노르웨이 연어 총 수출량은 103만 5000t으로 전년보다 3.7%, 같은 기간 아시아 지역으로의 연어 수출량은 7.0% 증가하는데 그쳤다.
그는 “노르웨이 생연어는 한 번도 얼리지 않은 채 항공직송으로 잡힌지 36시간 만에 한국으로 들어와 냉장 유통되는 것이 특징”이라면서 “한국에 들어오는 생연어의 97%가 노르웨이산”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한국에서 뷔페 형태의 연어 무한리필 전문점이 큰 인기를 누렸고, 가정에서 회나 초밥으로 연어를 소비하는 양이 늘었던 것이 성장 요인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국내 연어 뷔페 식당이 늘어난 배경엔 국제이슈가 개입되어 있다. 매년 노르웨이에서 1조원대 규모로 연어를 수입하던 러시아가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로 서방 제재를 받는 통에 연어 수입을 못하게 되자, 국제 연어값이 하락했고 과거 러시아로 향하던 연어가 한국 시장으로 유입됐다. 지난해엔 칠레에서 연어가 집단폐사한 여파로 연어 국제가격이 전년 대비 4.5% 오르며 반등했지만, 이미 조성된 국내 연어 수요가 안정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노르웨이 고등어의 국내 고등어 시장점유율도 23%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1년까지 수입 고등어의 절반 이상이 중국산이었지만, 중국이 자국 내 고등어 소비 증가에 맞춰 수출 물량을 줄이며 점유율 순위에 변화가 생겼다고 한다. 냉장 유통되는 연어와 다르게, 노르웨이산 고등어는 제철인 9~10월에 수확해 급속 냉동한 뒤 유통된다. 특히 40대 이하 젊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뼈를 바른 노르웨이산 ‘순살 고등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NSC는 파악했다.
일본산이나 중국산에 비해 노르웨이 수산물을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인식에 대해, 비에 이사는 “북해 바다의 생태계 건강을 유지하고, 첨단기술과 연구 결과를 활용해 최상의 생선 품질을 유지하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자평했다. 그는 “노르웨이 어획량의 95%가 해외 140개국으로 수출돼 전 세계에서 매일 3600만개의 식탁에 노르웨이 수산물이 오르고 있다”면서 “한국인들이 연어와 고등어 외에 바다 송어, 킹크랩 등 노르웨이의 다른 우수한 수산물도 접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