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껌 49년만에 매출 4조원 돌파…지구 330바퀴 분량

롯데껌 49년만에 매출 4조원 돌파…지구 330바퀴 분량

입력 2016-05-30 09:59
수정 2016-05-30 09: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롯데껌이 누적 매출 4조원을 돌파했다.

롯데제과는 1967년 회사 설립 때부터 49년간 생산·판매한 제품의 누적 매출이 지난달 말 기준 4조500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금액을 쥬시후레쉬로 환산하면 약 300억통으로, 일렬로 늘어놓으면 지구의 둘레를 330바퀴 돌 수 있는 1천320만㎞라고 롯데제과는 설명했다.

이를 낱개로 환산하면 약 2천억매로, 세계 인구 73억5천명이 약 27회씩 씹을 수 있는 양이다.

최초의 롯데껌은 1967년 선보인 쿨민트껌, 바브민트껌, 쥬시민트껌, 페파민트껌, 슈퍼맨 풍선껌, 오렌지볼껌 등 6종이었다.

롯데제과는 당시 가격이 2∼5원이었던 이들 제품으로 그 해 3억8천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후 1972년 롯데제과는 현재 국내 껌시장에서 최장수 제품으로 알려진 쥬시후레쉬, 후레쉬민트, 스피아민트 3종을 선보였다.

이 제품들은 당시 기존의 껌들보다 월등히 컸기 때문에 껌 시장에서 ‘대형껌 3총사’라고 불렸다.

한국사람의 구강 구조, 턱의 강도, 입맛 등 인체공학적 설계에 따라 개발된 제품들로 지금도 연매출 100억원 이상 올리고 있다.

특히 쥬시후레쉬는 1970∼1980년대 단맛을 통해 서민의 배고픔을 달래 주며 입속의 동반자로 큰 인기를 얻었다.

2000년대 들어 롯데제과는 충치예방 효과와 단맛이 뛰어난 자일리톨껌을 선보이며 제2도약에 나섰다.

자일리톨껌은 기존의 껌 형태와 포장 구조를 완전히 새롭게 바꾼 획기적인 제품으로 평가받으며 연간 1천억원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다. 판매가 정점에 달한 2002년에는 매출이 1천800억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롯데껌은 지난해 국내 껌 시장에서 80%에 근접한 점유율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