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육 시작 나이 평균 4.8세…“태교부터” 5.8%

영어교육 시작 나이 평균 4.8세…“태교부터” 5.8%

입력 2016-05-31 07:29
수정 2016-05-31 07: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녀에게 영어를 처음 가르치기 시작하는 나이가 평균 5세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에 따르면 이달 25∼29일 영어교육 정보 커뮤니티 윤스맘 회원 4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자녀가 영어교육을 처음 받기 시작한 나이(한국나이)는 평균 4.8세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6세(24.9%)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5세(21.7%)와 4세(14.8%)라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7세(10.3%)와 3세(9.0%), 2세(6.0%)가 뒤를 이었고 태교할 때부터(5.8%)라는 응답도 있었다.

영어교육을 처음 시작한 방법(복수응답)으로는 ‘노래·애니메이션 콘텐츠 이용’이 53.4%로 가장 많았고 ‘어린이집·유치원 방과후 수업’을 활용했다는 응답도 49.6% 절반에 가까웠다.

영어책 읽어주기(36.5%)와 학습지(18.2%), 영어유치원·영어전문학원(4.5%)을 이용했다는 부모들도 있었다.

영어를 처음 가르치게 된 계기(복수응답)는 ‘교육에 적기라는 판단이 들어서’(44.4%), ‘어린이집·유치원에서 영어 방과후 수업을 시작해서’(39.9%)라는 응답이 많았는데 ‘주변 또래 아이들이 시작한 것을 보고’(21.7%) 시작했다는 부모들도 적지 않았다.

영어교육을 시작한 나이에 대해서는 68.5%가 적당하다고 답했지만 빠르다고 느끼는 부모들도 28.1%에 달했다.

실제로 이상적인 영어교육 시작 나이에 대한 질문에서는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8세’를 꼽은 응답자가 전체의 21.7%로 가장 많았다.

이어 5세(20.4%)와 6세(12.4%)에 시작하는 것이 적당하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고, 10세(10.3%)에 교육을 시작하는 게 좋다는 응답자도 10%를 넘어섰다.

이를 평균해보면 부모들이 자녀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싶은 나이는 5.7세로 실제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나이보다 한 살 가량 늦었다.

입학하기 전부터 영어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67.2%가 그렇다고 답했지만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도 26.2%로 집계됐다.

미취학 자녀에게도 영어를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영어에 대한 흥미·친근함을 갖게 하기 위해’(66.1%)라는 답이 압도적이었고, 굳이 가르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59.8%가 ‘일찍 시작했다고 더 잘하는 것 같지 않아서’를 꼽았다.

윤선생 관계자는 “마음 같아서는 6세 정도에 영어교육을 시작하고 싶지만, 주변 환경상 더 이른 나이에 교육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