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이용자, 하루평균 광고 6건 본다

SNS 이용자, 하루평균 광고 6건 본다

입력 2016-07-25 13:46
수정 2016-07-25 13: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자 중 상당수가 하루 평균 6건 이상의 광고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밴드를 이용하며 광고를 접한 경험이 있는 10∼50대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7.0%(235명)가 하루 평균 최소 6편 이상의 광고를 본다고 답했다고 25일 밝혔다.

조사대상의 49.6%(248명)는 ‘다른 매체에 비해 SNS에 광고가 많다’고 응답했다.

SNS를 이용하면서 불편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63.8%(319명)였는데, 이 중 82.4%(263명. 중복응답)가 상업적 게시물이 과도한 점을 가장 큰 불만으로 꼽았다.

소비자가 자주 접하는 SNS 광고 유형(중복응답)은 상품·쇼핑몰 광고가 92.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애플리케이션 설치 광고(72.0%, 360명)였다.

응답자 중 25.2%(126명)는 사설 도박, 음란물, 성매매 알선 등 불법·유해 정보를 SNS에서 접한다고 답했고, 이 중에는 10대 응답자가 27.8%(35명)나 됐다.

광고가 넘쳐나는 반면 SNS의 광고 차단 수단은 미흡했다.

5개 조사대상 업체 중 광고 차단 서비스가 있는 업체는 밴드(유료, 30일에 2천원)가 유일했다.

나머지 4개 업체는 광고 숨기기 기능을 제공했지만 이미 광고를 보고 난 후 해당 광고만 보이지 않게 하는 것에 불과했다.

5개 업체 모두 불법·유해 정보를 신고할 수 있게 해놨지만 대부분 게시물 우측 위의 작은 버튼을 눌러야 신고메뉴가 나타나 찾기 어려웠다.

응답자 중에서도 4.6%(23명)만이 ‘SNS상 불법·유해 정보 모니터링 등 관리가 잘 되고 있다’고 답했으며 불법·유해 정보를 신고한 사람 98명 중 처리가 됐다는 응답은 21.4%(21명)에 불과했다.

소비자원은 “SNS상 불법·유해 정보를 접하는 경우 해당 사업자의 신고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www.kocsc.or.kr)의 ‘불법·유해정보 민원’ 서비스를 통해 신고하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