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 포럼-광주 전남] “포스코 연구개발 DNA 이식… 돈 버는 구조로 점프업”

[지역경제 활성화 포럼-광주 전남] “포스코 연구개발 DNA 이식… 돈 버는 구조로 점프업”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8-29 22:32
수정 2016-08-30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성호 포항혁신센터장

“포스코의 연구개발(R&D) DNA를 광양에 심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박성호 포항혁신센터장
박성호 포항혁신센터장
박성호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장이 29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창조·혁신 포럼’에서 광양의 강소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박 센터장은 “광양에는 4년제 대학이 없어 산학 연구가 쉽지 않지만 포항센터와의 연대 또는 전남, 광주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려고 한다”고 말했다. 광양센터는 포스코 사내조직인 창조경제추진단 내에서 포항센터와 함께 투트랙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부·지방자치단체 지원을 받는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는 달리 민간 자율형이다 보니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재단 법인 등의 형식을 갖추는 데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곧바로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올해 목표는 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것”이라면서 “벤처기업을 발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돈을 버는 구조로 한 단계 점프업시키려고 한다”고 말했다.

실제 광양센터는 제조업, 의료정비시스템 분야의 6개 기업을 입주시킨 것과 별개로 기존 강소기업을 찾아 연구개발(R&D) 투자를 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이 광양시에 위치한 로프형 스크린도어 업체인 ‘SKDHITEC’와 도심 방음터널용 파형 강판업체인 ‘픽슨’(FIXON)이다. 올해 각각 3억원의 자금을 지원했다. 박 센터장은 “빠른 시일 내에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강소기업을 발굴,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양 지역 벤처뿐 아니라 국가대표급 벤처를 유치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8-3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