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스마트폰·TV 굴기’ 가속…점유율 1위 삼성·LG 맹추격

中 ‘스마트폰·TV 굴기’ 가속…점유율 1위 삼성·LG 맹추격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11-21 22:14
수정 2016-11-21 23: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과 TV 시장에서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업계가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고수하고 있지만 넓은 내수 시장과 정부의 지원, 연구개발(R&D) 등을 앞세운 중국 기업들이 국내 기업의 입지를 위협할 수 있다는 위기론이 현실화하고 있다.

21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판매대수 기준 점유율 19.2%로 1위를 차지했다. 애플은 11.5%로 2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점유율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4% 포인트 하락했으며 애플도 1.4% 포인트 내려앉았다. 1, 2위 업체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는 것은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이었다. 화웨이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0% 증가한 8.7%로 3위를 지켰으며 오포(6.7%)와 BBK(5.3%)는 각각 3.3% 포인트와 2.4% 포인트 올랐다.

안술 굽타 가트너 책임 연구원은 “자국 시장의 성장에 따른 기회를 가장 잘 활용한 업체는 오포와 BBK”라면서 “전체 판매량에서 자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오포가 81%, BBK가 89%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성장한 중국 업체들이 갤럭시노트7 단종 등을 기회 삼아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TV에서는 중국의 굴기(堀起)가 더 거세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3분기 글로벌 TV 시장에서 국가별 점유율은 한국이 32.2%, 중국이 31.9%로 중국과 한국의 격차가 불과 0.3% 포인트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2분기에 3.2% 포인트 떨어졌으나 중국은 3.0% 올라섰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11-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