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로 등골 빠지는 빈곤청년…¾이 ‘임대료 과부담’

월세로 등골 빠지는 빈곤청년…¾이 ‘임대료 과부담’

입력 2017-02-16 09:11
수정 2017-02-16 09: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사연 “저렴한 임대주택 짓고 지원 강화해야”

빈곤한 청년가구주 가구 중 4분의 3이 소득의 20% 이상을 월세 등 주거비로 지출하는 ‘임대료 과부담’ 상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청년 빈곤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1인 청년(19∼34세) 가구’의 빈곤율은 2015년 19.5%로,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 가구’(4.3%), ‘자녀가 있는 청년 부부 가구’(3.1%), 청년끼리 모여 살거나 조부모 등과 거주하는 등 ‘기타 청년 가구’(8.4%)의 빈곤율보다 훨씬 높았다. ‘빈곤’은 중위소득의 50% 미만을 버는 경우를 가리킨다.

보사연은 월 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이 20%를 넘는 경우를 ‘임대료 과부담’으로 보고 이에 해당하는 비율을 가구 유형별로 분석했다. 1인 청년 가구 중 47%가 이에 해당해, 청년 부부 가구(39.8%)나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 가구(34.2%), 기타 청년 가구(41.9%)보다 심각했다.

특히 빈곤하면서 청년이 가구주인 가구는 ‘임대료 과부담’에 해당하는 비율이 73.3%에 이르러 전체 빈곤 가구(65.8%)나 빈곤 장년(35∼54세) 가구주 가구(58.3%)의 경우보다 높았다.

RIR이 30% 이상, 즉 번 돈의 30% 이상을 주거비로 쓰는 경우도 빈곤 청년가구주 가구 중 60.2%에 달했다. 이런 비율은 전체 빈곤 가구의 경우 41.1%, 빈곤 장년 가구주 가구의 경우 33.5%였다.

보사연 보고서는 현재의 청년 주거지원 제도가 대학생과 신혼부부 등 일부 계층으로 그 대상이 한정돼 있어 저소득가구의 청년이나 1인 청년 가구가 주거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보사연은 직장이나 공단 인접 지역에 저렴한 임대 주택을 건설하고 입주 조건을 완화하는 등 빈곤 청년층이 안정적인 주거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가구원 수가 많은 가구 위주로 설계된 주거지원 제도를 개선해 주거 문제가 심각한 빈곤 청년들에 대한 주거 급여, 대출 지원, 공공 임대 주택 확대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