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가정 월평균 468만원 벌어 245만원 소비…교육비 31만원

보통가정 월평균 468만원 벌어 245만원 소비…교육비 31만원

입력 2017-03-08 14:21
수정 2017-03-08 14: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한은행 보통사람 금융생활보고서…생활비 121만원, 전체 소비의 50%

대한민국 평균 가정은 468만원을 벌고 이 중 245만원을 순수 소비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중에서는 생활비가 절반가량 됐으며 교육비가 두 번째로 많았다

신한은행이 전국 만20∼64세까지의 취업자 1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2017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본인과 배우자의 근로·사업 소득과 금융, 부동산, 기타 소득을 포함한 전체 월 소득의 평균은 468만원이었다.

이렇게 벌어들인 돈 중 소비에 쓰이는 돈이 매월 245만원(52.3%)으로 절반이 넘었고 저축과 투자에 111만원(23.7%), 부채상환과 잉여자금이 각각 56만원(12.0%)이었다.

소비로 들어가는 245만원 중 식비와 교통비, 공과금, 통신비, 주거비 등 생활비가 121만원(49.4%)으로 전체 소비의 절반가량 됐다.

이어 교육비가 31만원(12.7%)이었고 여가·취미에 18만원(7.3%), 부모·자녀 용돈으로 16만원(6.5%), 패션·잡화에 15만원(6.1%), 모임회비나 경조사비가 11만원(4.5%), 의료비가 10만원(4.1%), 기타가 23만원(9.4%)이었다.

소비는 연령이나 소득별로 패턴이 달랐다.

연령별로 볼 때 40대는 전체 소비금액 277만원 중 교육비 지출이 월 55만원으로 전체 소비의 19.9%를 차지했다.

그러나 20대는 소비금액 126만원 중 교육비 지출은 4만원(3.2%)에 불과했고, 여가·취미(13만원·10.3%), 패션·잡화(11만원·8.7%)에 돈을 많이 썼다.

소득별로 살펴보면 소득이 가장 적은 5구간(하위 20%)은 소비금액이 96만원이었고 1구간은 416만원으로 4.3배 차이 났다.

특히 소득이 많은 1구간의 교육비 지출은 63만원이었지만, 5구간은 3만원에 불과해 교육비 지출 차이가 21배나 났다.

반면 주거비는 1구간이 13만원이었지만 5구간이 9만원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은 5구간은 월세 등으로 인한 주거비 부담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축 및 투자 현황을 보면 평균 저축·투자금액은 111만원이었다.

전체적으로는 저축·청약이 35만원(31.5%)으로 가장 많았고 보장성 보험(21만원·18.9%), 저축성 보험과 수시입출금·CMA(이하 17만원·15.3%), 주식/펀드 등 직간접 투자상품(6만원·5.4%) 순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