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 상장사 시총 970조원…작년 초 대비 19% ↑

30대 그룹 상장사 시총 970조원…작년 초 대비 19% ↑

입력 2017-04-23 10:14
수정 2017-04-23 1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전자 시총 증가액 106조원…30대 그룹 전체 상승분의 70% 차지

국내 30대 그룹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970조원으로, 1년여 사이에 19%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전자의 시총 증가액(106조원)은 30대 그룹 전체 시총 상승분의 70%를 차지했다.

23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30대 그룹 상장사 176개사의 시총을 조사한 결과, 총 969조9천142억원(4월 21일 종가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월 1일 기준 817조315억원에서 18.7%(152조8천827억원)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 상승률인 10.4%의 2배에 육박한다.

이 같은 시총 상승은 실적 호전 덕분이다. 지난해 30대 그룹 상장사의 영업이익은 102조2천523억원으로 전년 대비 21.6%(18조1천527억원) 급증했고, 매출액 역시 4.2%(61조2천511억원) 늘었다.

시총이 가장 크게 증가한 곳은 두산그룹이다. 두산은 구조조정 효과로 상장사 영업이익이 1천986%나 폭증한 데다 두산밥캣의 상장으로 시총이 84.4% 불어났다.

현대중공업과 포스코 역시 혹독한 구조조정 덕분에 실적이 개선되며 시총이 각각 69.9%, 56.3%씩 늘어났다.

삼성그룹의 영업이익은 16.0%, 시총은 33.8% 각각 증가했다. SK(영업이익 28.7%, 시총 30.1%), LS(41.1%, 29.5%), 대림(110.7%, 25.9%), 에쓰오일(97.8%, 22.1%), 한국타이어(26.2%, 21.8%), GS(11.2%, 17.0%), 롯데(36.3%, 14.0%)도 영업이익과 시총이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OCI그룹은 상장사 영업이익이 341.1%나 급증했음에도 시총 합계는 30.9% 감소했다. 하지만 이는 OCI머티리얼즈 매각 및 넥솔론의 상장 폐지에 따른 일회성 요인으로, 이를 제외하면 0.3% 감소에 그친다고 CEO스코어는 설명했다.

사실상 시총 하락률 1위 그룹은 CJ다. CJ는 9개 상장사 매출액 증가율이 12.6%, 영업이익 증가율이 1.4%인데, 시총은 16.2%나 빠져 30대 그룹 중 하락률이 가장 높았다.

현대백화점그룹과 KCC그룹은 상장사 영업이익이 8.8%, 62.5% 각각 증가했음에도 시총은 15.5%씩 줄었다.

개별 기업으로 보면 삼성전자 시총이 무려 50.5%나 급증하며 시장 상승을 주도했다. 삼성전자의 시총 증가액은 106조2천472억원으로 30대 그룹 전체 시총 증가액의 69.5%를 차지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증가율은 10.7%였다.

이 밖에 LG전자(영업이익 12.2%, 시총 30.4%), 포스코(18.0%, 62.2%), KT(11.4%, 11.3%), 롯데쇼핑(10.1%, 5.4%)도 영업이익과 시총이 동반 상승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시총(69.1%)이 늘어난 반면 영업이익(-38.6%)이 줄었고, 현대차는 시총(-6.1%)과 영업이익(-18.3%)이 모두 감소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