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개별 공동주택 가격이 평균 4.4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자로 아파트 993만 가구, 연립주택 49만 가구, 다세대주택 201만 가구 등 1243만 가구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26일 발표했다. 개별 공시가격은 조세부과, 건강보험료 산정, 각종 부담금, 공직자 재산등록 등 60여 가지 행정 분야에 활용된다.
이미지 확대
부천 중동 아파트 조감도.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부천 중동 아파트 조감도.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제주도로 20.02% 뛰었다. 관광산업 활성화에 따른 인구 유입 증가와 대규모 개발 사업 호재가 이어져 ?값 상승을 이끌었다. 부산도 아파트 분양 증가, 재건축·재개발 사업 활성화, 고분양가에 따른 인근 아파트값 동반 상승 효과로 10.52% 올랐다.
동해고속도로 개통, 동서고속철도 확정 등 대규모 지역개발 효과를 노린 투자자 증가로 강원도 8.34% 상승했다. 속초는 14,47% 올랐다. 서울도 활발한 재건축 사업과 투자자 증가에 힘입어 8.12% 올랐다. 강남(11.75%), 서초(10.05%)는 서울 평균 상승률을 앞질렀다.
지역 기반산업이 무너진 곳은 하락 폭이 컸다. 경북은 철강 산업 침체 등으로 6.40% 떨어졌고, 충남은 개발사업 지연과 산업단지 미분양 증가, 새종시로 인구 유출 등의 영향을 받아 5.19% 하락했다. 조선 경기 침체 영향을 받은 경남 거제는 13.63%, 울산 동구는 8.07% 빠졌다.
비싼 아파트, 소형 아파트 일수록 많이 올랐다. 3억원 이하 저렴한 아파트(1.17~4.25% 상승)보다 재건축 사업과 고분양가 영향을 받은 6억원 이상 비싼 아파트(8.46~8.97%)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85㎡이하 아파트는 4.12~6.26% 상승한 반면 85㎡초과 주택은 3.57~4.80% 상승했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트라움하우스 5단지(273.64㎡)는 지난해보다 2억 5600만원 상승한 66억 1600만원으로 가장 비싼 아파트 기록을 이어갔다. 두번째 비싼 아파트로 이름을 올린 용산 한남동 더힐 아파트(244.78㎡)는 51억 4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8억 8800만원 뛰었다.
30억원이 넘는 아파트는 590채로 이중 부산에 있는 3채를 빼고는 모두 서울에 몰려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동주택 한 채당 평균 가격은 1억 7600만원이고, 서울 공동주택 가격은 평균 3억 600만원으로 분석됐다.
전국 250개 시·군·구는 이날 396만 가구에 이르는 개별 단독주택가격을 공시했다. 지난해보다 4.39% 올랐다. 제주가 16.77%로 가장 많이 올랐고 부산 7.43%, 세종 6.78%, 서울 5.18%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