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귤·당근·달걀 장바구니 담을 때 손 떨렸다

상반기 귤·당근·달걀 장바구니 담을 때 손 떨렸다

입력 2017-07-05 16:46
수정 2017-07-05 16: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된장찌개·칼국수 물가 5년 만에 최고폭 뛰어

올해 상반기 농·축·수산물 등 기본 식재료와 맥주 물가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상반기(1∼6월) 맥주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1% 상승했다.

이는 상반기 기준으로 1998년(7.8%) 이후 19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맥주는 지난해 말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가 가격을 각각 6.0%, 6.3% 인상한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맥주를 포함한 주류 가격은 4.4% 올라 2013년(5.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외식 물가도 들썩였다. 상반기 외식 물가는 작년 동기보다 2.3% 올랐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0%를 웃돌았다.

특히 김치·된장찌개 백반, 칼국수, 김밥·라면 등 일부 품목에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김치·된장찌개 백반은 각각 2.4% 올랐다. 이는 2012년 상반기 각각 3.0%, 4.0% 상승한 이래 5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칼국수 가격도 2.4% 올라 마찬가지로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대표적인 분식인 라면과 김밥 가격은 올해 상반기 각각 4.9%와 8.5%나 올랐다.

집에서 먹으려고 해도, 식탁 물가 역시 녹록지 않다.

상반기 농·축·수산물 물가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6.1%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3배에 달했다.

지난해 여름철 고온, 가뭄 영향으로 출하량 자체가 줄어든 농산물이 많았던 탓이다.

농·축·수산물 73개 품목 중 상승률 1위는 귤(89.8%)이다. 당근은 64.9% 상승해 2위다.

AI(조류인플루엔자) 여파로 생산 기반이 흔들린 달걀은 작년 동기보다 57.4% 올라 3위를 차지했다. 달걀 상승률은 상반기 기준으로 통계가 작성된 1975년 이래 최고였다.

어획량이 줄어든 오징어는 47.7%, 양배추는 35.2% 각각 올랐다.

올해 상반기 서민들은 먹거리뿐 아니라 주거 문제 해결도 쉽지 않았다.

전셋값 상승률은 5년째 고공행진 중이다. 상반기 전세가는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0% 올랐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1.0%포인트 높은 수치다.

전세가는 2012년부터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상반기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전셋값 상승세는 서울, 경기, 인천, 강원, 부산 등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지역별 전체 물가를 보면 제주도가 2.4% 올라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광주(2.3%), 대구(2.2%), 서울(2.1%), 울산(2.1%), 전남(2.1%) 등이 뒤를 이었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서울·광주가 각각 8.2% 올라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전국 평균 상승률은 6.1%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