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도 경력단절…열 중 셋, 예전 일과 상관없는 일한다

고령층도 경력단절…열 중 셋, 예전 일과 상관없는 일한다

입력 2017-07-25 13:36
수정 2017-07-25 13: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구직비율은 10년 전보다 4.4%포인트 상승

고령층 10명 중 3명은 자신이 주로 했던 일과 관련 없는 일자리에 지난 1년간 종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고령층이 할 수 있는 일자리가 늘고 생산적이 활동에 종사하려는 고령층이 늘면서 고령층 구직비율은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1년간 구직활동을 해본 55∼79세 고령층은 15.8%(204만7천명)로 0.1%포인트 상승했다.

남성(17.0%)이 여성(14.8%)보다 2.2%포인트 높았다.

고령층 구직활동 비율은 첫 조사 때인 2005년 11.3%를 기록하고서 2009년까지 11∼12%대를 유지하다가 2010년 15.9%대로 뛰고서 15∼16%대를 기록하고 있다.

10년 전인 2007년(11.4%)과 견줘 고령층 구직비율은 4.4%포인트 상승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정부가 2010년부터 노인 일자리 사업을 하기 시작했다”며 “고령층이 할 수 있는 일자리가 많아지며 구직활동이 활발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취업자 중에선 20.5%, 미취업자 중 10.2%가 지난 1년간 구직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경험자들은 주로 친구, 친지 소개·부탁(40.4%)으로 일자리를 알아봤다.

고용노동부·기타 공공 취업알선기관(28.2%)에 알아본 고령층이 그다음이었다.

반면 구직경험이 없는 미취업자는 건강상의 이유(37.7%)로 구직활동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 비율은 0.6%포인트 상승했다.

‘나이가 많아서’(24.4%), ‘가사·가족 반대’(22.7%) 때문에 구직활동하지 않은 미취업자 비중도 높았다.

지난 1년간 취업해본 고령층은 61.7%(797만5천명)로 0.8%포인트 하락했다.

그러나 10년 전인 2007년(57.1%)보다는 4.6%포인트 상승했다.

취업경험자 중에선 취업경험이 한 번인 경우가 85.1%로 대다수였다.

남성 취업경험자 비율은 73.5%로 여성(51.2%)보다 22.3%포인트나 높았다.

지난 1년간 경험한 일자리가 생애 주된 일자리와 관련이 있는 경우는 71.7%로 0.3%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전혀 관련 없다’ 비중도 17.0%, ‘별로 관련 없음’은 11.3%에 달했다.

28.3%가 고령층이 되며 자신의 경력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일자리에 종사하는 것이다.

지난 1년간 직업능력 개발훈련에 참여한 고령층은 13.5%(174만6천명)였다.

직업훈련 참여할 때 어려운 점으로는 훈련기관·과정 부족이 15.7%로 가장 많이 꼽혔다.

‘훈련내용이 미흡하거나 이해가 어려움’(14.8%), ‘훈련내용이 직장생활·취업에 도움 안 됨’(10.6%)이 그 뒤를 차례로 따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