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본점 앞이 기업은행역?

하나은행 본점 앞이 기업은행역?

최선을 기자
입력 2017-07-25 22:48
수정 2017-07-26 00: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은행권 ‘네이밍 마케팅’ 치열… 기은 을지로입구역 사명 병기

3년간 3억 8000만원에 계약… 종각역도 SC제일은행 붙이기로

최근 은행권에서 회사의 이름을 지하철역 등에 새겨 넣는 ‘네이밍 마케팅’이 활발하다.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지하철역 이름 병기를 두고 은행 간 기싸움도 벌어졌다.
이미지 확대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은 ‘IBK기업은행’이 함께 표기돼 있다. 기업은행 본점은 역에서 300m 정도 떨어져 있는데 말이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6월 서울교통공사의 역 이름 병기 사업에 단독 응찰해 2019년 8월까지 을지로입구역에 자사 이름을 붙였다. 3년간 약 3억 8000만원을 내기로 했다. 서울교통공사가 유상 대여 중인 1~8호선 27개 역 이름 중 가장 비싸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영리한 경영적 판단을 한 것이다.

을지로입구역 1·2번 출구에 밀착한 신사옥이 있는 KEB하나은행은 서울시의 지하철역 이름 병기 사업에 응찰하지 않아 난감하게 됐다. 하나은행은 1·2번 출구 계단을 하나은행 광고로 도배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신사옥을 지으면서 1·2번 출구의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의 공사 비용을 부담했고 이 시설들을 하나은행 소유 토지에 설치하도록 협력했다”며 억울하다고 한다. 하나은행은 본사를 을지로입구역 옆에 재건축한 신사옥으로 지난 21일부터 이전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뒤늦게 을지로입구 1·2번 출구만이라도 IBK기업은행 표기를 삭제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기업은행 측은 적법한 절차로 계약을 체결했고 비용을 지불했기 때문에 지울 수 없다며 강경한 태도다.

은행들이 지하철역 이름 병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지역 랜드마크 역할을 하면서 고객들에게 각인되는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기업은행은 지하철역뿐 아니라 을지로2가 사거리를 ‘IBK 사거리’로 만들기 위해 지난 3월부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신한은행 역시 서울시 버스운송조합과 계약을 체결해 본점 앞 버스정류장 이름을 ‘신한은행 본점’으로 사용하고 있다.

SC제일은행도 지난달 3년간 2억 9500만원을 주고 1호선 종각역에 자사 이름을 붙이기로 계약했다. SC제일은행 관계자는 “종각역 하루 이용객이 9만 2000여명에 달하고 지나다니는 사람들에게도 홍보가 된다”면서 “인지도를 높여 장기적으로 고객 포섭에 도움이 된다고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오금란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노원2)은 지난 10일 서울시 복지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돕는 보조기기 지원체계는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해 개선돼야 한다며, ‘휠체어를 탄 채로 탑승할 수 있는 장애인용 차량 제조 및 개조 지원’과 ‘휠체어 전용 백팩의 보조기기 편입’, ‘보완대체의사소통(ACC) 등을 제안했다. 1년에 2회, 새로운 보조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보조기기를 등록하기는 매우 어렵고, 반영되는 예산도 매우 부족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장애유형별 요구가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상황 또한 지적했다. 오 의원은 올해 9월 노원구에서 시행한 뇌병변장애인용 차량 개조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것조차도 스스로 할 수 없는 덩치 큰 뇌병변장애인을 보호자가 직접 안아서 들어올리지 않고 휠체어에 탄 상태로 탑승하는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보조기기의 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 의원은 “차 한 대 개조에만 약 6000만원이 소요돼 사실상 SUV 신차 구입비용과 비슷
thumbnail -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2017-07-2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