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 폭염에도 불구하고 빙과류 시장은 해가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2013년 1조 9317억원이었던 빙과시장 규모는 지난해 1조 1000억원대로 40% 가까이 줄었다. 저출산 고령화로 아이스크림 주고객층인 유소년층이 줄어든 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롯데제과는 장수 제품의 맛은 유지한 채 형태, 포장을 바꾸는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으로 승부수를 던졌다.
치어팩 포장으로 업그레이드한 ‘죠스바’, ‘스크류바’ 등 롯데제과 빙과류 제품들. 롯데제과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치어팩 포장으로 업그레이드한 ‘죠스바’, ‘스크류바’ 등 롯데제과 빙과류 제품들. 롯데제과 제공
‘죠스바’, ‘스크류바’, ‘수박바’를 파우치 형태로 바꾼 ‘죠크박’ 아이스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바 형태 대신 치어팩 포장으로 냉기를 오래 즐길 수 있고 먹는 재미도 있다. 지난 5월 말 선보인 ‘죠크박’ 시리즈는 지난달까지 매출액이 소비자 가격 기준 130억원을 넘어섰다. 롯데제과의 첫 파우치 제품인 2003년 ‘설레임’ 이후 역대급 수준이라는 게 롯데제과의 설명이다.
홈플러스와 협업으로 선보인 파인트형 제품인 일명 ‘죠스통’, ‘수박통’은 올 4월 중순 출시 이후 지난달 중순까지 약 45만개(약 11억원어치)가 판매됐다. 롯데제과는 호평에 힘입어 스테디셀러 ‘돼지바’를 콘 형태로 만든 ‘돼지콘’도 내놨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7-08-1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