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경영 특집] CJ E&M, 1인 창작자 손잡고 세계 시장으로

[인재경영 특집] CJ E&M, 1인 창작자 손잡고 세계 시장으로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7-09-27 18:38
수정 2017-09-27 19: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CJ E&M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직접 영상 등 콘텐츠를 제작해 방송을 진행하는 ‘1인 창작자’들을 지원하며 신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CJ E&M의 멀티채널네트워크(MCN) 브랜드 ‘다이아(DIA) TV’는 2013년 7월 국내 최초로 MCN 사업에 진출한 이후 지속적으로 1인 창작자들에게 동영상 제작 기법을 전수하고 저작권·음원 관리를 지원하며 전용 스튜디오,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또 올해 1월 1일부터는 아시아 최초로 1인 창작자 전문 방송 채널을 개국해 창작자들의 콘텐츠를 TV로도 방영할 수 있게 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7월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제2회 다이아 페스티벌에서 국내 최고령 1인 창작자 박막례(왼쪽·71)씨가 자신의 팬에게 화장 시연을 하고 있다. CJ E&M 제공
지난 7월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제2회 다이아 페스티벌에서 국내 최고령 1인 창작자 박막례(왼쪽·71)씨가 자신의 팬에게 화장 시연을 하고 있다.
CJ E&M 제공
지난 7월에는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1인 창작자 축제인 ‘제2회 다이아 페스티벌’도 개최했다. 서울시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하고 서울산업진흥원이 주관한 이 행사에는 약 4만명의 방문객이 찾아 큰 호응을 보였다.

이 밖에도 파트너 창작자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유럽 최대의 동영상 플랫폼 ‘데일리모션’에 창작자 100개팀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개설해 한류 콘텐츠를 유통시키는 한편 일본의 ‘움’, 북미의 ‘비키’ 등 각국의 콘텐츠 전문 사이트와 영상 제휴를 확대하고 있다.

이런 지원에 힘입어 지난 7월 기준 다이아TV의 파트너 창작자 1300개 팀의 합산 유튜브 구독자 수 1억 1000만명, 누적 조회수 253억회를 각각 돌파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이 중 320개 팀은 중국, 일본, 영국, 러시아, 뉴질랜드 등 해외 30개국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파트너다. CJ E&M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글로벌 파트너의 비중을 30%까지 확대해 모두 2000개 팀의 파트너 창작자를 확보하고, MCN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09-2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