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 없는 ‘1인사장’ 2년새 11만명↑

일자리 창출 없는 ‘1인사장’ 2년새 11만명↑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11-08 17:54
수정 2017-11-08 18: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월 기준 나홀로 창업 413만명…직원 있는 자영업은 3만명 감소

일자리를 늘리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1인 사장’ 창업이 2년 전보다 10만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3만명 넘게 감소했다. 이런 나 홀로 창업은 ‘레드오션’인 음식·숙박업과 서비스업 등 생계형 업종에 집중됐다. 자영업에 뛰어든 10명 중 3명은 종잣돈이 500만원도 채 되지 않았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17년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월급 등을 받지 않는 비임금근로자는 685만 7000명으로 2015년보다 2만 8000명(0.4%) 증가했다. 이 가운데 자기 혼자 또는 가족과 함께 사업을 하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13만 7000명으로 2년 전보다 11만 1000명(2.8%) 늘었다.

반면 알바생 등 1명 이상의 직원을 둔 자영업자는 155만 9000명으로 같은 기간 3만 6000명(2.3%) 감소했다. 돈을 받지 않고 가족을 돕는 무급가족 종사자는 116만명이다.

산업별로 보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음식숙박업에서 2년 전보다 5만 1000명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만 9000명)과 건설업(2만 1000명)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 나 홀로 창업자가 2년 전보다 8만명 증가한 140만명으로 전체의 33.8%를 차지했다.

나 홀로 창업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 조선업 구조조정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조선업 등 제조업에서 이탈한 인력들이 자영업에 진출했는데 숙련도가 필요하지 않은 영세 음식점을 주로 창업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60대 자영업자가 증가한 것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2년생)가 본격적으로 은퇴하면서 이들이 창업에 뛰어들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 2년 이내 자영업을 시작한 사람을 대상으로 사업자금을 따로 조사한 결과 500만원 미만이 전체의 28.3%로 가장 많았다. 500만원 이상∼2000만원 미만 22.0%, 2000만∼5000만원 21.1%, 5000만∼1억원 16.6%, 1억∼3억원 10.9% 등이었다. 자영업에 뛰어든 이의 절반 이상(57.4%)은 직전 직업이 임금근로자였다. 실직·은퇴 후 재취업에 실패한 월급쟁이들이 생계를 위해 자영업에 사실상 내몰렸을 가능성이 작지 않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11-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