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부채 7000만원 넘었다

가구당 부채 7000만원 넘었다

입력 2017-11-26 22:20
수정 2017-11-26 22: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 3분기 7269만원… 실질소득 月 439만원 0.2%↓

가구당 평균 빚이 올해 7000만원을 넘어섰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가계신용은 1419조 1000억원이다. 통계청의 올해 가구 추계(1952만 가구)를 고려하면 가구당 7269만원씩 부채를 짊어진 셈이다.

지난해 말 6962만원이었던 가구당 부채는 올해 들어 다소 감소하는 듯했으나 2분기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가구당 부채가 폭증한 것은 최경환 자유한국당 의원이 경제수장으로 있던 2015∼2016년 때다. 2012∼2014년만 해도 3∼4%대이던 가구당 부채증가율(전년 대비)은 2015년 9.1%, 2016년 10.0%로 치솟았다. 당시 최경환 경제팀이 ‘빚 내서 집 사라’며 2014년 9월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완화한 여파다.

그나마 소득이 같이 늘면 상환능력이 뒷받침되지만 해가 갈수록 소득은 되레 뒷걸음질이다. 올해 3분기 가구 실질소득(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제 소득)은 월평균 439만 2000원으로 1년 전보다 0.2% 감소했다. 실질소득은 2015년 4분기 이후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3년 만에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 3% 달성 가능성이 커졌지만 경제주체들이 경기 호전을 좀처럼 실감하지 못하는 이유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수출이 주도해 온 성장세를 내수가 넘겨받아야 하는데 앞으로 건설투자가 꺾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그렇게 되면 내수 쪽에 믿을 만한 부분은 민간소비뿐인데 소득은 줄고 빚은 늘고 있어 힘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11-2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