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위한 소비 불황에도 강세

나를 위한 소비 불황에도 강세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7-12-18 22:14
수정 2017-12-18 23: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홈쇼핑 히트 88%가 패션·화장품…200만원대 상품 수요 47% 증가

행복 충족 ‘욜로’ 소비패턴 뚜렷

극심한 소비 부진에도 홈쇼핑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상품은 올해도 패션과 화장품이었다. 자신을 위해 과감히 투자하는 ‘욜로’ 소비 트렌드가 완전히 자리잡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VW베라왕’ 정장
‘VW베라왕’ 정장
18일 국내 주요 홈쇼핑 업체 4곳이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 13일까지 약 1년 동안의 히트상품을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각사 판매 순위 10위권에 든 전체 40개 제품 중 패션 또는 잡화 상품이 25개, 화장품 등 미용 관련 상품이 10개에 달했다. 전체의 약 87.5%가 패션·화장품 제품군인 셈이다.

CJ오쇼핑에서는 화장품 브랜드 A.H.C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TV홈쇼핑 주문량 1위를 기록했다. 올 한 해 전체 화장품 주문량은 139만건으로 전년 대비 약 20% 늘었다. 지난해 6월 출시한 뒤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국내 화장품 브랜드 ‘에이지 투웨니스’도 주문량 35만 세트를 돌파해 6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7월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동행 때 입어 화제가 된 중저가 브랜드 ‘VW베라왕’ 정장은 이후 10만 세트가량이 판매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GS샵은 단독 패션 브랜드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GS샵이 국내 유명 디자이너 손정완과 손잡고 2012년 선보인 ‘SJ와니’는 2014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GS샵이 2011년부터 단독 전개하고 있는 프랑스 패션 브랜드 ‘모르간’도 2년 만에 순위권에 재진입했다.

롯데와 현대홈쇼핑에서는 고급스러운 소재를 강조한 패션 브랜드가 인기를 끌었다. 롯데홈쇼핑의 판매량 4위에 이름을 올린 프랑스 브랜드 ‘조르쥬 레쉬’는 여우털 워머와 조끼 등이 49만 5000세트 판매됐다. 5위 ‘LBL’은 제품 평균 가격대가 40만~50만원인 고가임에도 누적 주문금액 1000억원을 돌파했다. 롯데홈쇼핑 측은 “전체 상품의 평균 판매 단가(12만원)가 전년보다 20% 이상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현대홈쇼핑도 이탈리아 캐시미어, 울, 밍크 등 고급 소재를 사용한 패션 브랜드 ‘라씨엔토’가 기존 홈쇼핑 의류 대비 20~40% 높은 가격대에도 4개월 만에 29만 세트 팔렸다고 전했다.

황범석 롯데홈쇼핑 영업본부장은 “가격대가 50만원 이상인 상품의 구매율이 해마다 10%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200만~300만원대 상품 수요도 전년 대비 47% 이상 급증했다”면서 “최근 자신의 행복감을 충족시키는 상품에 과감히 투자하는 욜로 소비 패턴이 뚜렷해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12-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