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t사진 왼쪽) SK텔레콤 사장은 9일(현지시간) “4세대 이동통신 후반기에 오면서 중국이 빠르게 달려가고 있다”면서 “오히려 우리가 기술격차를 걱정해야 할 정도”라고 말했다. 박 사장은 ‘CES 2018’의 삼성전자 행사장을 찾은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반도체를 많이 팔아서 좋아했지만 우리에게 반도체를 사 간 회사들이 그것을 활용해 기술격차를 벌리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기술격차가 큰 걱정인데 따라잡으려면 5세대 이동통신(5G)를 경쟁력 있게 구축해 우리나라 (IT) 생태계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SK텔레콤은 CES에 참가하지 않지만 박 사장은 협력사인 삼성전자 참관 차 행사장을 찾았다. 박 사장은 “이번 CES에 가장 많이 참가한 나라가 중국이고, 선전 한 도시에서만 참가 기업이 다른 나라보다 많다”면서 “기술격차를 줄이고 혁신해야 하는 게 과제이고, 저희는 인프라 사업자로서 그런 환경을 만드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은 규제가 적다”며 우리 정부 규제와 관련해 “자율주행차 하나만 해도 관련된 기관이 상당히 많다”며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도 협력해서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박 사장은 이날 CES 현장에서 초정밀지도 글로벌 기업 ‘히어’(HERE)와 5G 자율주행·스마트 시티 사업협력 파트너십을 맺었다. 양사는 서울에 연구혁신(R&I)센터를 세우고 국내 주요도로 초정밀지도를 상반기부터 공동구축한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