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서울 주택가격 0.94% 올라…2004년 조사 이래 최대

2월 서울 주택가격 0.94% 올라…2004년 조사 이래 최대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02 11:38
수정 2018-03-02 14: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국은 0.20%↑ 8·2대책 후 가장 높아…설 이후 안정세는 반영 안 돼

지난달 서울 주택가격 상승률이 1% 가까이 급등했다. 2월 상승률로는 2004년 관련 통계가 발표된 이후 역대 최대다.

한국감정원은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가격이 전월 대비 0.94% 올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2004년 월별 주택 매매가 통계가 공개된 이후 2월 통계로는 13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월별 통계로는 2009년 9월 1.12% 오른 이후 8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재건축·뉴타운 등 개발 사업지의 주택과 새 아파트 등으로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이 크다. 특히 뉴타운·재개발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용산구와 마포구 등 강북권은 전월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용산구가 1.80%, 마포구 1.58%, 성동구 1.52% 각각 올랐다.

강남권은 서초구가 1.95% 오르고 강남구가 1.93%·송파구가 1.60% 오르는 등 강북권보다 오름폭은 컸지만, 상승 피로감이 누적되며 전월 대비 상승 폭이 축소됐다.

다만 이번 통계는 1월 15일 대비 2월 12일에 조사가 이뤄지면서 정부의 안전진단 강화 방침 등으로 설 연휴 이후 주택가격 상승 폭이 둔화하는 분위기는 조사에서 반영되지 않았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20% 상승했다. 이는 1월(0.14%)보다 오름폭이 커진 것이면서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경기도가 1월 0.08%에서 2월에는 0.19% 올라 상승 폭이 2배로 커졌다.

반면 지방은 부산이 0.08% 하락하며 전월(-0.07%)보다 낙폭이 확대됐고 울산(-0.26%)·경남(-0.24%)·충북(-0.20%)·충남(-0.18%)·경북(-0.08%) 등 충청·경상권에서 약세가 지속됐다.

유형별로는 전국 기준으로 아파트가 전월 대비 0.20%, 연립주택 0.15%, 단독주택이 0.21% 각각 올랐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135㎡ 초과 주택이 0.78%, 102㎡ 초과∼135㎡ 이하가 0.54% 오르는 등 중대형의 상승 폭이 중소형보다 컸다.

입주 물량 증가 등의 여파로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0.09% 하락해 전월(-0.05%)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서울은 0.17%로 전월(0.20%)보다 오름폭이 둔화했고 경기도는 0.21% 하락해 1월(-0.12%)보다 하락 폭이 커졌다.

지방에선 세종시의 전셋값이 -0.66%로 가장 큰 폭으로 내렸고, 경남(-0.31%)·충남(-0.16%) 등지도 약세가 지속됐다.

전세 물량 증가와 가격 안정세로 전국의 주택 월세도 0.05% 내려 1월(-0.04%)보다 하락 폭이 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