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창고 리모델링해 호텔 만든 남정모
청년 디자이너들과 54년 된 창고 개조아이디어 공유하면서 밤새 싸우기도
1층에 식당·갤러리, 2~4층 객실 마련
“활기 더해줄 디자인, 도시재생에 필수”

스몰하우스빅도어 제공
서울 중구 을지로의 골목에 위치한 호텔 ‘스몰하우스빅도어’의 입구 모습. 54년 된 낡은 창고를 개조해 만든 이 호텔은 다양한 전시와 공연은 물론 운영 측면에서도 공유경제를 활용하는 등 도시재생의 새로운 모형을 보여 주고 있다.
스몰하우스빅도어 제공
스몰하우스빅도어 제공
서울 중구 을지로에 위치한 54년 된 낡은 창고를 ‘스몰하우스빅도어’라는 이름의 작은 호텔로 리모델링해 운영하고 있는 남정모(39) 대표의 원래 직업은 그래픽 디자이너다. 남 대표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명문 예술학교인 ‘아카데미 오브 아트 유니버스티’(AAU) 출신이다.
남 대표는 “귀국 후 ‘디자인메소즈’라고 산업·그래픽 디자이너 4명이 모여 팀을 만들었는데, 2014년쯤 지인이 당시 낡은 창고를 모텔로 만들려고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우리가 모텔이 아닌 호텔로 만들겠다고 나서면서 일이 시작됐다”면서 “처음에는 단순한 디자인 호텔을 생각했는데, 공간을 설계하고 꾸미는 과정에서 점점 문화와 예술을 공유하는 부분이 커졌다”고 말했다.
작업을 진행한 디자인메소즈는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의자’를 디자인해 런던디자인페스티벌 최우수상을 받은 김기현씨 등 실력 있는 젊은 디자이너들로 구성된 일종의 디자이너조합이다. 실력 있는 청년 디자이너들이 모였지만 작업은 쉽지 않았다. 남 대표는 “미니멀리즘(불필요한 것을 없애고 본질 중심의 단순함을 표현하는 예술)을 중심으로 설계하는 쪽으로 방향은 잡혔는데, 고집이 보통 아닌 사람들이 각자 아이디어를 구현하려다 보니 밤새 싸우기도 많이 했다”며 웃었다.

남정모 대표
남 대표는 “개발업자가 사무실 건물을 짓는 것보다는 작지만 재미있는 호텔이 도시의 다양성을 더 강화하는 것”이라면서 “흔히 볼 수 있는 상품·공간이 아닌 눈길을 끄는 디자인과 감각이 도시재생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물을 바꿔 후미진 골목으로 발길을 옮기게 하는 것도 어렵지만, 한번 옮겨진 발길을 계속 머물게 하기는 더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 대표가 꺼내 든 카드가 공유다. 이렇게 탄생한 호텔 스몰하우스빅도어는 1층에는 식당과 갤러리, 2~4층은 객실, 옥상에는 라운지가 있는데 갤러리와 라운지는 젊은 작가들의 전시공간으로 자주 활용된다.
호텔 운영에도 이런 철학이 그대로 담겼다. 그는 다른 호텔과 달리 에어비앤비 등 숙박 공유 플랫폼을 적극 활용한다.
남 대표는 “호텔에 묵으러 오는 분들은 대부분 호텔을 소비 공간이라고 생각하는데, 에어비앤비 등 숙박 공유를 통해 오는 분들은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공유하려는 특징이 있다”면서 “문화의 다양성과 공유가 앞으로 도시의 중요한 경쟁력이 되지 않겠냐”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9-04-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