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계 ‘거래용 현금’ 3분의 1로 줄고 4가구 중 3가구 집 보관 돈 한푼도 없어 간편결제·송금서비스로 현금 감소 영향 현금 자산 첫 80조 돌파… 3년 만에 23조↑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해 국민들이 지니고 있는 ‘지갑 속 현금’이 3년 전보다 3분의 1이 줄었고, 전체 4가구 중 3가구는 집에 보관 중인 ‘장롱 속 현금’이 한 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18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거래용 현금’ 보유액은 평균 7만 8000원으로 2015년(11만 6000원)보다 3만 8000원(33.0%) 감소했다. 거래용 현금은 지갑이나 주머니에 갖고 있는 돈을 뜻한다.
또 비상시를 대비해 집이나 사무실 등에 보관하고 있는 ‘예비용 현금’은 같은 기간 69만 3000원에서 54만 3000원으로 21.6% 줄어들었다. 전체 가계에서 예비용 현금을 보유한 가계 비중도 27.0%에서 23.3%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체 가계가 보유한 거래용·예비용 현금 규모는 평균 20만 3000원으로 2015년(30만 1000원)보다 32.6% 감소했다.
다만 국민들의 자금 사정이 나빠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실제 한은의 ‘2018년 중 자금순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현금 자산은 총 81조 7020억원으로 사상 처음 80조원을 돌파했다. 2015년 말 58조 4220억원보다 23조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보유 중인 현금이 감소한 원인으로는 간편결제·송금 서비스 확대, 도난 위험에 따른 비용 부담 등이 꼽힌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9-04-1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