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이 2.87%로 8590원으로 결정된 것을 두고 경영계에선 아쉬운 수준이라고 총평하며, 업종별·규모별 구분적용 추진을 다시 주장했다. 경영계기 당초 제시한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은 -4.2%로, 오히려 최저임금을 삭감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최저임금위원회 사용자위원들은 12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내년도 인상률은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금융위기와 필적할 정도로 어려운 현재 경제상황과 최근 2년 동안 급격하게 인상된 최저임금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영세기업들과 소상공인들이 절실히 기대한 최소한 수준인 동결에 이르지 못한 것은 아쉬운 결과”라고 총평했다.
이들은 “사용자위원들이 2.87%안을 제시한 것은 최저임금이 큰 폭 인상될 경우 초래할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면서 “이번 결정이 경제활력을 제고하고 중소영세기업,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줄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어 “최저임금위는 조만간 설치될 제도개선전문위원회에서 업종, 규모별 구분적용을 최우선으로 해서 최저임금 산정기준 시간 수 합리화 등을 심도있게 논의해 2021년도 최저임금은 합리적으로 개선된 제도에서 심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논평을 내고 “최근 2년간 급격하게 인상된 최저임금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영세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절실히 기대했던 최소한의 수준인 동결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아쉽고 안타깝다”고 했다. 이어 “중소기업계는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에 대비한 적응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향후 최저임금위가 기업의 지불능력을 감안한 업종별·규모별 구분적용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논의하여 만들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최저임금위원회 사용자위원들은 12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내년도 인상률은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금융위기와 필적할 정도로 어려운 현재 경제상황과 최근 2년 동안 급격하게 인상된 최저임금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영세기업들과 소상공인들이 절실히 기대한 최소한 수준인 동결에 이르지 못한 것은 아쉬운 결과”라고 총평했다.
이들은 “사용자위원들이 2.87%안을 제시한 것은 최저임금이 큰 폭 인상될 경우 초래할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면서 “이번 결정이 경제활력을 제고하고 중소영세기업,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줄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어 “최저임금위는 조만간 설치될 제도개선전문위원회에서 업종, 규모별 구분적용을 최우선으로 해서 최저임금 산정기준 시간 수 합리화 등을 심도있게 논의해 2021년도 최저임금은 합리적으로 개선된 제도에서 심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논평을 내고 “최근 2년간 급격하게 인상된 최저임금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영세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절실히 기대했던 최소한의 수준인 동결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아쉽고 안타깝다”고 했다. 이어 “중소기업계는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에 대비한 적응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향후 최저임금위가 기업의 지불능력을 감안한 업종별·규모별 구분적용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논의하여 만들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