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번잡한 버스정류장 잠실환승센터…수도권 출근길 1시간27분

가장 번잡한 버스정류장 잠실환승센터…수도권 출근길 1시간27분

신성은 기자
입력 2020-04-23 11:04
수정 2020-04-23 1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토부, 작년 대중교통 이용실태 분석…143번·2호선 승객 가장 많아

이미지 확대
1일 서울 송파구 송파대로 지하에서 열린 잠실광역환승센터 개통식에서 참석자들이 버스 시승행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일 서울 송파구 송파대로 지하에서 열린 잠실광역환승센터 개통식에서 참석자들이 버스 시승행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작년 한해 수도권에서 승차와 환승이 가장 많이 이뤄진 버스정류장은 잠실광역환승센터,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광역버스는 성남시 구미동차고지∼서울역 구간을 운행하는 9401번이었다.

작년 수도권에서는 하루 평균 730만명이 1천845만건의 대중교통을 이용했고, 대중교통 이용요금으로 편도 기준 2천162원을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는 23일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함께 작년 한 해 수집된 교통카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실태를 분석, 발표했다.

분석 결과 작년 한 해 수도권에서 시내버스, 도시철도 등 대중교통 이용 시 교통카드를 사용한 수는 67억3천만건으로 2018년보다 1.05% 증가했다.

지역별 일평균 교통카드 이용자 수는 서울 395만명, 경기 266만명, 인천 69만명의 순이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1인당 평균 교통수단을 1.92회 이용했고, 한번 통행에 평균 1.32회의 환승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1인당 2.14회 교통수단을 이용해 1.32회 환승했다.

편도 이용 금액을 기준으로 인천∼경기 2천614원, 서울∼인천 2천185원, 서울∼경기 2천59원을 지출했으며, 지역 내에서는 경기 2천345원, 서울 1천436원, 인천 1천583원을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중교통의 하루 평균 이용량은 2018년 하루 1천357만건에서 작년 1천386만건으로 2.12% 증가했다.

경기·인천에서 서울로 가는 하루 평균 이용량은 133만건으로 경기와 인천에서 발생한 하루 평균 이용량(경기 438만건·인천 113만건)의 24.2%를 차지했다.

반면 서울에서 경기와 인천으로 가는 하루 평균 이용량은 130만건(경기 112만건·인천 18만건)으로, 서울시 전체 발생 하루 평균 통행량(835만건)의 15.6% 수준이었다.

수도권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근하는 경우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는 인천→서울 1시간 30분, 경기→서울 1시간 24분 등으로 평균 1시간27분이 걸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 내에서는 서울 47분, 인천 50분, 경기 1시간36분이 걸렸다.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량 중 43.3%는 버스만 이용했으며, 광역·도시철도만 이용한 경우는 39.2%, 광역·도시철도와 버스를 환승해 이용한 경우는 17.5%였다. 버스와 버스 간 환승 이용은 9.48%였다.

광역·도시철도역의 승·하차 최다 이용 역사는 강남역, 환승은 잠실역이었다.

출근시간 최다 승차 버스정류장은 야탑역 종합버스터미널(전면), 하차는 사당역(중), 환승은 판교역 남편이었고, 광역·도시철도역은 신림역에서 가장 많은 승차와 환승이 이뤄졌고, 하차는 강남역으로 전년과 변동이 없었다.

퇴근시간 최다 이용 정류장도 대체로 비슷했으나 하차는 강남역, 환승은 양재역에서 가장 많이 이뤄졌다.

작년 1년간 수도권 광역버스와 M버스를 이용한 사람은 모두 2천127만5천명이었다.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M버스는 수원시 경희대국제캠퍼스∼서울역버스환승센터 구간을 운행하는 M5107번이었다.

수도권에서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버스 노선은 143번, 지하철은 2호선으로 전년도와 같았다.

국토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인터넷에서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을 서비스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도권 노선 신설·조정, 정차 지점과 배차 간격 최적화 등 보다 편리한 대중교통체계를 만드는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라며 “향후 빅데이터 비즈니스 모델 개발, 새싹기업(스타트업) 활용 등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9일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북가좌6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북가좌6구역은 규모가 크고 초등학교가 인접해 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역과 불광천변에 접하고 있어 입지 조건이 뛰어나 향후 서대문구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곳으로 평가되며, 대림산업이 시공사로 선정되어 있다. 김 의원은 축사를 통해 주택 재정비 사업을 조합 설립 전후로 나누어 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합이 설립되고 시공사까지 선정된 상황에서 조합장 등 조합 임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회에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것이 안타깝다”라는 심정을 피력했다. 또한 조합원들에게도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기 위해 재개발·재건축 아카데미 등에 적극 참여하여 정비사업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조합 감시·감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현재 6구역이 서울시 재건축 통합심의를 앞둔 만큼, 신속하게 지도부(조합 임원진)를 결성한 후 핵심 역량을 발휘해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기를 기원했다. 그는 과거 도시계획 심의위원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지역 시의원으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