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한국은행의 8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125로, 전달과 같았다. 지수 125는 2018년 9월 128 이후 사상 두 번째로 높다. 4월과 5월 96에서 6월 112, 7월 125로 급등했다.
CSI는 소비자의 경제 상황 인식과 전망을 설문 조사해 지수화한 통계다. 주택가격전망 CSI는 현재와 비교해 앞으로 1년 뒤 주택 가격이 더 오를 것인지 내릴 것인지 묻고 그 대답을 지수화한 것이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향후 집값이 오를 걸로 보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14일 진행됐다. 수도권에 신규 13만 2000가구 등 총 26만 가구 이상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8·4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기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 등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대책이 잇따라 나오면서 급등세는 멈춘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지수 수준 자체는 100보다 한참 높은 최고치에 근접해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가격전망 CSI 등 6개 세부지수들을 아우르는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2로, 7월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CCSI는 CSI 중 6개 주요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 지표로, 장기평균치(2003∼2019년)를 기준값 100으로 삼아 100보다 크면 낙관적임을 뜻한다. CCSI는 4월 70.8에서 5월 77.6으로 상승한 뒤 이달까지 넉 달 연속 상승세가 지속됐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전인 1월 104.2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다. 이번 조사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실시(16일) 이전에 이뤄져 최근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