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제 규모를 보여주는 실질 국내총생산(GDP)가 올해 1분기(1~3월)에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까지 회복했다. 민생 경제는 여전히 어렵지만 일단 수치상으로는 예상을 넘어선 회복세를 보인 것이다.
한국은행은 27일 발표한 실질 GDP 속보치 통계에서 전기 대비 1분기 성장률이 +1.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1분기 국내총생산액(시장 가격 기준)은 470조 8467억원으로 코로나19가 터지기 직전인 2019년 4분기(10~12월) 468조 8143억원을 뛰어넘었다.
앞서 한은은 1분기 성장률이 1.3% 정도면 지난해 뒷걸음친 GDP 규모가 코로나19 영향이 없었던 2019년 4분기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는데, 이날 확인된 성장률(1.6%)은 이보다 훨씬 높았다.
1분기 민간소비는 승용차, 가전제품 등 내구재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등이 늘면서 1.1% 증가했다. 또 정부 소비는 추경 예산 집행 등으로 1.7% 늘었고,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이 늘어 0.4%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늘어 6.6% 증가했다. 수출은 자동차, 이동전화 등을 중심으로 1.9% 증가했으며, 수입은 기계 및 장비, 1차 금속제품 등이 늘어 2.4% 증가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