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60세 5년… 기업 89% “중장년 인력관리 어렵다”

정년 60세 5년… 기업 89% “중장년 인력관리 어렵다”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1-09-26 20:54
수정 2021-09-27 06: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의 조사… 인건비·신규채용 부담順
임금피크 도입 66%, 근무시간 조정 21%

정년을 60세로 연장한 지 5년 차로 접어든 가운데 국내 기업 10곳 중 9곳은 중장년 인력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대·중소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정년 60세 의무화로 중장년 인력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곳의 비율이 89.3%에 달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들 기업은 높은 인건비(47.8%·복수 응답), 신규 채용 부담(26.1%), 저성과자 증가(24.3%), 건강·안전관리(23.9%), 인사 적체(22.1%) 등에서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중장년 인력이 젊은 직원과 업무 생산성에서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 조사 기업의 56.3%로 가장 많았다. 중장년 인력이 젊은 직원보다 업무 능력이 ‘낮다’고 한 응답은 25.3%였고, ‘높다’는 응답은 18.4%였다. 이는 중장년 인력이 낮은 생산성에도 높은 임금을 받고 있다는 의미라고 대한상의는 해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의 ‘근속·연령별 임금수준’ 자료를 보면 근속 1~3년차 25~29세의 연간 임금은 평균 3236만원, 3~5년차 30~34세는 4006만원에 불과했으나, 25년 이상 근속한 55~59세 근로자의 임금은 평균 8010만원에 달했다.

정년 60세 의무화 관련 대응 조치를 취한 기업은 전체 59.0%였는데, 임금피크제(66.1%·복수 응답)를 도입한 곳이 가장 많았고 근로시간 단축 및 조정(21.4%) 등이 뒤를 이었다.



2021-09-2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