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급등하면서 수출입물가지수가 3개월 만에 올랐다. 특히 수입물가는 지난해보다 24%나 뛰었다. 수입물가 상승은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만큼 당분가 5~6%대 물가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11일 오전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컨테이너 터미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뉴시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11일 오전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컨테이너 터미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뉴시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9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 수준 100)는 154.38로 8월(149.38)보다 3.3% 상승했다. 7월(-2.6%), 8월(-0.9%)과 달리 전월 대비 3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으며, 지난해 9월과 비교하면 24.1% 높은 수준이다.
품목 별로는 지난 8월과 비교해 원재료 가운데 원유를 포함한 광산품(3.3%), 중간재 가운데 컴퓨터·전자·광학기기(5.4%)의 상승폭이 컸다. 세부 품목에서는 천연가스(13.7%), 가방(10.2%), 시스템반도체(8.7%) 등이 많이 올랐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가 하락했지만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수입 물가가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 환율은 1391.59원으로 전월 대비 5.5% 올랐다. 환율 효과를 제한한 계약 통화 기준 수입 물가는 전월보다 1.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131.74로, 8월(127.64)보다 3.2% 올랐다. 국제유가 하락, 반도체 가격 내림세에도 환율 급등 영향으로 상승했다.
환율 효과를 제한한 계약통화 기준 수출 물가는 전월보다 1.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화학제품(3.9%), 컴퓨터·전자·광학기기(3.4%)가 수출 물가를 끌어올렸다. 세부 품목에서는 휘발유가 6.9% 내렸으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수지가 10.7% 올랐다. 시스템반도체(5.5%)와 D램(2.6%)도 원화 기준으로는 상승했다.
서 팀장은 “계약 통화 기준으로는 반도체 가격이 하락했으나,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화 기준으로는 가격이 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