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국내 은행의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연체율이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채권 정리로 지난 연말 주춤했던 연체율이 올 들어 다시 상승세로 바뀐 것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내 은행 대출창구에서 시민이 상담을 받고 있는 모습. 2024.3.13 뉴스1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시내 은행 대출창구에서 시민이 상담을 받고 있는 모습. 2024.3.13 뉴스1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 은행의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은 0.45%로 전월 대비 0.07% 포인트 올랐다. 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12월 0.38%로 11월(0.46%)에 비해 0.08% 포인트 하락했었다. 통상 연말에는 은행이 연체채권 정리를 강화해 연체율이 하락하고, 1월에는 그 기저효과로 연체율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1월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 9000억원으로 전월보다 7000억원 늘어났다. 신규 연체율(신규연체 발생액/전월 말 대출잔액)은 0.13%로 전월(0.10%)에 비해 0.03% 포인트 올랐다.
구체적으로는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모두 연체율이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5%→0.38%로, 기업대출은 0.41%→0.5%로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대출에서 연체율이 0.48%→에서 0.6%로 0.12% 포인트 증가했다.
금감원은 신규 연체율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