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2분기 영업이익 4940억원…임단협 비용 선반영에 전년 동기 대비 14.3%↓

KT, 2분기 영업이익 4940억원…임단협 비용 선반영에 전년 동기 대비 14.3%↓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24-08-09 11:33
수정 2024-08-09 1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출 6조 5464억원, 별도 서비스 매출 4조원대 유지
임단협 비용 644억원 제외시 영업이익 감소율 3.1%

이미지 확대
KT 로고. KT 제공
KT 로고.
KT 제공
KT의 2분기 영업이익이 임금협상에 따른 비용이 먼저 반영된 여파 등으로 두 자릿수 비율로 감소했다.

KT는 연결기준 2분기 영업이익이 494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반보다 14.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9일 공시했다.

KT는 영업이익 감소 이유에 대해 지난해에는 3분기에 반영됐던 임금협상에 따른 비용이 올해는 2분기에 반영된 영향이 컸다며 이에 따른 비용 약 644억원을 제외하면 연결 영업이익 감소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1%라고 설명했다.

2분기 매출은 6조 5464억원으로 2분기로는 2010년 이후 최대였던 지난해 같은 기간(6조 5475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순이익은 4105억원으로 5.1% 줄었다.

KT의 별도 기준 서비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 증가한 4조 480억원으로 2분기 연속 4조원대를 유지했다.

무선 사업에서는 5G 가입자가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5%에 해당하는 10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 서비스 매출은 로밍 서비스와 알뜰폰(MVNO) 사업 성장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반보다 2.7% 증가했다.
이미지 확대
KT 로고. KT 제공
KT 로고.
KT 제공
유선 사업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 감소했다. 초고속 인터넷에서는 가입자 수 990만명을 달성했고, 기가인터넷 가입자 중 1G 속도 가입자 비중이 늘어난 영향으로 인터넷 사업 매출도 1.0% 증가했다. 미디어 사업도 IPTV 가입자가 늘어나며 0.9% 성장했다.

반면 기업 서비스 사업(B2B)은 매출이 1.0% 감소했다. KT 관계자는 “태양광 에너지, 디지털 물류, 헬스케어 사업 등 저수익 사업을 합리화한 영향”이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B2B 사업의 구조적 합리화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자회사 중 KT클라우드, KT에스테이트 매출이 각각 17.1%, 7.1% 늘었지만, 콘텐츠 자회사는 14.8%, BC카드는 6.8%, 스카이라이프는 2.5% 각각 매출이 줄었다.

장민 KT 최고재무책임자(CFO·전무)는 “KT는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기업으로 본격적인 도약을 위해 사업 구조를 개선하고,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과 전방위적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