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2107개사 조사
배터리·자동차·부품 기업 80% 이상납품 물량 감소·수익성 악화 우려
중소기업에 수출금융 등 대책 필요
美 현대차, 가격 인상 가능성 고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둔 가운데 국내 제조업체 10곳 중 6곳이 ‘트럼프발 관세 폭풍’의 영향권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107개사를 대상으로 미국의 관세 영향을 조사해 내놓은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절반가량(46.3%)은 미국 관세 정책의 ‘간접 영향권’에, 14.0%는 ‘직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했다. ‘관세와 무관하다’고 답한 기업은 39.1%였으며 ‘반사이익’을 예상한 기업은 0.6%에 불과했다.
관세 영향권에 속한 기업으로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기업(21.7%)의 비중이 절반가량됐으며 이어 중국·멕시코·캐나다를 제외한 제3국 수출 및 내수 기업(17.9%), 미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4.2%), 중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3.8%)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이 대부분 영향권에 포함됐다.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분야도 영향이 적지 않았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76.7%, 중견기업 70.6%, 중소기업 58.0% 순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은 미국 관세 영향으로 ‘납품물량 감소’(47.2%)를 가장 우려했으며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 ‘납품단가 하락’(6.2%) 등의 우려가 나왔다.
하지만 기업들은 별다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45.0%는 ‘동향 모니터링’을 하는 데 그쳤으며 20.8%는 ‘대응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기업의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된다”며 “독자 대응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세제, 수출금융 등을 포함해 대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관세 부과를 앞두고 미국 현지 딜러들에게 자동차 가격 인상 가능성을 고지했다.랜디 파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딜러들에게 서신을 보내 “현재의 차 가격은 보장되지 않으며 4월 2일 이후 도매되는 제품은 (가격이)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2025-04-0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