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처, ‘비경활인구 부가조사’
‘쉬었음’ 인구 264만명까지 늘어
비임금근로자 1년 새 10만명 감소
‘쉬었음’ 인구 추이
일할 생각도 의지도 없이 ‘그냥 쉬는’ 사람이 1년 새 7만여명 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불황이 장기화한 가운데 자영업자가 10만여명 감소해 역대 최소 규모로 쪼그라들었다.
국가데이터처는 5일 이런 내용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비경제활동 인구 및 비임금금로 부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아니면서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비경활) 인구’는 올해 8월 1622만명으로 지난해보다 9000명 증가했다. 활동 상태별로 가사(36.9%), 재학·수강(20.2%), 쉬었음(16.3%) 순이었다. 이 중 일할 능력이 있으면서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는 264만 1000명으로 지난해보다 7만 3000명 늘었다.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최대 규모다.
‘쉬는 청년’은 15~19세(-1만 2000명)와 20대(-3000명)에선 줄었지만 30대(+1만 9000명)에선 역대 최대 규모인 32만 8000명까지 늘었다. 20대까지 취업전선에 뛰어들었다가 30대에 진입하면서 구직을 포기하는 인구가 증가했다는 의미다.
‘쉬었음’ 이유를 살펴보면, 15~29세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가 34.1%로 가장 많았다. 30대는 ‘몸이 좋지 않아서’ 32.0%,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 27.3% 순이었다. 40대 이상은 모두 ‘몸이 좋지 않아서’를 가장 많이 꼽았다. 취업 적령기인 청년층을 중심으로 ‘일자리 미스매칭’이 심화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를 포함한 ‘비임금근로자’는 655만 4000명으로 1년 새 10만 3000명 감소했다. 코로나19가 확산했던 2020년 16만 1000명 감소 이후 최대 폭이다. 전체 취업자 중 비임금근로자 비중도 22.6%로 0.5% 포인트 하락했다. 2007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작은 규모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43만 5000명으로 5000명,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나 홀로 사장님)는 424만 1000명으로 6만 5000명 감소했다. 감소 폭이 큰 업종은 농림어업(-13만 1000명), 운수·창고업(-4만 1000명), 건설업(-9000명) 순이었다.
자영업자가 일을 그만둔 이유로는 ‘전망이 없거나 사업 부진’(41.8%), ‘개인적인 사유’(41.3%), ‘더 나은 업종으로의 전환’(6.0%) 등이 꼽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